항목 ID | GC05601671 |
---|---|
한자 | 詠歸亭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회송리 전 53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박명희 |
건립 시기/일시 | 1893년 - 영귀정 건립 |
---|---|
현 소재지 | 영귀정 -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회송리 회송1구 전53 |
성격 | 서당 |
양식 | 재실형 |
정면 칸수 | 4칸 |
측면 칸수 | 2칸 |
소유자 | 정의림 후손 |
관리자 | 정의림 후손 |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회송리 칠송 마을에 있는 정의림의 강학소.
[개설]
영귀정은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회송리 칠송 마을에 정의림(鄭義林)[1845~1910]이 제자들을 가르치기 위한 장소로 활용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자는 계방(季方), 호는 일신재(日新齋),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노사(盧沙) 기정진(奇正鎭)의 3대 제자 중 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문집인 『일신재집(日新齋集)』에는 영귀정과 관련된 자료들이 남아 있다. 『일신재집』 권14 「영귀정기(詠歸亭記)」에 따르면, “임진년 봄에 칠송 마을에 강당 터를 정하고 가을에 역사를 시작하여 이듬해 겨울 12월에 낙성을 하게 되었다.[壬辰春 卜地于七松之里 秋設役 越明年冬十二月落之]”라고 한 것으로 보아 임진년인 1892년에 터를 닦아 1893년 12월에 완성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신재집』 권1에는 영귀정에서 읊은 시 5제(題) 10수(首)가 남아 있는데, 이 중 「영귀정원운(詠歸亭原韻)」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부춘산수육정령(富春山水毓精靈)[부춘의 산수가 정령을 드리우니]
사창창강우청다(士蹌蹌講宇淸多)[여러 선비 모여든 강사가 맑네]
식봉비천인상욕(識鳳飛千仞像欲)[ 황새 천 길 나는 기상 알진대]
수장요슬리여성(須將瑤瑟理餘聲)[비파줄 가지고 여음 다스릴지니]
[위치]
영귀정은 전라남도 화순군 회송리 칠송 마을에 있다.
[변천]
영귀정은 1892년에 터를 닦았고, 1893년 12월에 건물이 완성되어 그 후로 여러 차례의 개보수를 거친 다음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형태]
영귀정은 단층의 팔작지붕 골기와 건물로, 정면 4칸과 측면 2칸의 재실형의 모습을 하고 있다.
[현황]
처음 건물 상태에서 여러 차례의 개수·보수를 거친 다음 현재에 이르고 있다. 옆에는 정의림과 제자인 홍승환(洪承渙), 김윤형(金潤亨), 민병춘(閔丙春), 문제술(文濟述), 배현기(裵玄基), 임태주(任泰柱), 홍찬희(洪纘熹), 이승복(李承福) 등을 배향한 칠송사(七松祠)가 자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후기 호남의 대표적인 학자인 노사 기정진의 3대 제자 중의 한 사람인 정의림이 강학을 했던 장소로 당시 호남 교육의 산실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