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700074 |
---|---|
한자 | 三陽洞草家 |
영어음역 | Kang Unbong Gaok |
영어의미역 | House of Kang Unbong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양2동 2067 |
집필자 | 김태일 |
문화재 지정 일시 | 1978년 11월 14일 - 삼양동초가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3-1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삼양동초가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재지정 |
성격 | 초가|두거리집 |
양식 | 안거리와 밖거리, 2동으로 구성된 초가 |
건립시기/일시 | 조선시대 |
정면칸수 | 4칸 |
측면칸수 | 4칸 |
소재지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양2동 2067 |
소유자 | 강운봉 |
문화재 지정번호 |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양2동에 있는 초가.
[형태]
삼양동초가는 부정형 대지의 중심에 마당이 있고, 마당 서쪽에 동향으로 안거리가 있으며 안거리 맞은편에 밖거리가 서향으로 마주하고 있는 두거리집 형태이다. 올래와 이문간을 거쳐 마당으로 진입하는 일반적인 제주도 초가 양식과 달리, 양쪽에 우영을 끼고 ㅡ자형의 긴 올래를 따라 진입하며, 이문간이 없이 안거리와 밖거리, 2동으로 구성된 초가가 마당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배치를 하고 있다. 즉, 안거리와 밖거리, 모커리와 눌굽에 의한 사국(四局) 형성이 아니라 안거리와 밖거리, 눌굽에 의해 안마당을 형성하고 있고, 안거리는 찬방이 전면에 있는 형태로서 제주 초가 양식에서 다소 변형된 구성임을 알 수 있다.
통시는 눌굽과 안거리에 의해 가려진 구석에 위치하고 있는데, 뒤쪽으로 큰 팽나무가 놓여 있어 은밀한 곳을 더욱 폐쇄적인 공간으로 만들고, 아울러 북서풍을 막아 주는 역할도 한다.
평면 구성을 보면, 안거리와 밖거리는 각각 4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밖거리의 경우 한 칸은 헛간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3칸은 중앙에 상방이 놓이고 좌우에 각각 작은 구들과 고팡, 그리고 작은마루와 작은 구들이 위치한 것이 특징이다.
[현황]
밖거리 측면에 위치한 별동 쇠막이 없어져서 현재는 안거리와 밖거리만이 남아 있는 형태이다. 안거리와 밖거리는 모두 2고주 7량집으로 지붕은 용마름이 없는 우진각 모양이다. 기둥과 보, 도리는 정교하게 짜맞추었으며, 도리 아래는 장혀를 보강하지 않았다. 통시 역시 지금은 개량식 화장실로 고쳐서 사용하고 있다. 삼양동초가는 1978년 11월 14일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3-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일반적인 제주 전통 건축 양식과는 달리 이문간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밖거리에 작은마루가 두 개 달린, 다소 변형된 형태의 근대적인 초가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