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탕건 노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11322
한자 宕巾-
영어음역 Tanggeon Norae
영어의미역 Song of Horsehair Cap
이칭/별칭 탕건 짜는 소리,탕건 는 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집필자 조영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관망요|노동요|부요
토리 경토리
출현음 솔라도레미
기능구분 노동요
형식구분 자유 형식
박자구조 6/8박자|자유 리듬
가창자/시연자 김공춘[화북동]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전해오는 탕건을 짤 때 부르는 노동요.

[개설]

「탕건 노래」는 제주도 내에서도 구 북제주군 지역에서 주로 불린 관망요의 하나이다. 얼마 전까지도 신흥과 화북 지역에서 채집되었으나, 현재는 화북 지역에서만 전승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채록/수집상황]

「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MBC, 1992)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탕건 노래」는 주로 여성들이 부르는 부요로서 독창 형태로 불리고 있다. 탕건을 짜는 일이 공동 작업이라기보다는 개별 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기에 수반되는 민요 역시 독창 형태가 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종지음은 솔이고, 구성음은 솔라도레미로 되어 있다. 6/8박자를 근간으로 하나 자유리듬이 병행하며, 특정한 장단은 없다. 자유 형식의 악곡으로, 특별한 창법은 사용되지 않는다. 제주도 여인들의 평범한 자연 발성에 의해 가창되고 있다.

[내용]

탕건을 짜는 작업과 관련한 내용이나 시집살이와 관련한 내용이 주로 나타난다. 육지에서 불리는 민요의 가사가 전이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탕건 노래」가 경기 민요의 「창부 타령」 가락을 차용한 흔적으로 보인다.

 덜이면 육장이로구나

심벡허는 탕건이라

심벡 오늘 아침부터 심벡 메우나네 이제 사흘에 하날 까살 껀디

 덜이민 육장이로구나

심벡허는 탕건이로구나

심벡허는 탕건이로구나

얼씨구나 절씨구나 아니 놀지는 못허리라

이 내 탕건 까그네 폴아그네 도 받아 먹곡 곤 옷도 해영 입곡 헐꺼우다

산지천명 돈 고뜨민 우리 부모가 외로울소냐

저 와당이 소주 뜨민 우리 아바지가 무사 술 그리리

얼씨구나 절씨구나 아니 놀지는 못허리라

간다 간다 나는 간다 거들 거리고나 나는 간다

심벡해영 아사주 저 낼라그네

아침 먹언 오란 낮꼬지 허젠 허난 손도 베긴 제기 못 놀리키여

손 떠부난 이젠 더나 못헐로구낭이야

요 노래허민 간딘 가랭 허민 천기보멍 일기보멍 새 듯이나 앙 가주마는

어머님 간디가 알수가 어성 못아그네 갈로구나

얼씨구나 절씨구나 아니 놀지는 못허리라(이하 중략)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관망을 짜는 작업은 제주시 인근 지역, 곧 구 북제주군 조천과 애월, 그리고 화북, 삼양 지역에 사는 여인네들의 중요한 생계 수단의 하나였다. 그 중에서도 함덕의 신응과 화북 등에서 탕건을 주로 짰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이 작업에 수반되는 「탕건 노래」를 거의 부를 줄 모른다. 그만큼 생활민속과 관련하여 제주도에서도 특수한 위치에 있는 민요라 할 수 있다.

[현황]

탕건을 만드는 일이 줄어들면서 현재 「탕건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사람도 거의 없는 형편이다.

[의의와 평가]

생활민속과 관련해서는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으나, 민요의 가락과 사설에서는 제주민요만의 토속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