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1256
한자 全鰒
영어음역 jeonbok
영어의미역 abalone
이칭/별칭 구공라,천리광,석결명,거진,점복,전북,비쭈게,생복,쑥복,건복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집필자 김정옥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특산물|어패류

[정의]

진도 특산의 원시복족목 전복과에 속하는 타원형의 연체동물.

[개설]

전복의 일반성분은 단백질 약 13%, 지방 0.5%, 당질 4.2%, 무기질 약 2.0%이다. 이 외에 미량 함유되어 있는 글루탐산, 아데닐산, 글리신, 베테인 등의 아미노산과 향기성분이 전복의 독특한 향과 맛에 관여한다. 또 수분이 약 80%로 쉽게 부패할 수 있으므로 여름철에는 주의하여 먹어야 한다. 전복은 다른 어패류에 비하여 단백질 함량이 높고 지방의 함량은 낮아 비만예방에 효과적이며, 간장보호, 피로회복, 시력보호, 심근경색예방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명칭유래]

전복은 구공라(九孔螺), 천리광(千里光), 석결명(石決明) 이라고도 하며, 지역에 따라 거진, 점복, 전북, 비쭈게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또 가공방법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생전복은 생복, 찐 것은 숙복, 말린 것을 건복이라고 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전복은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데 우리나라 연안에 분포하는 전복류는 겨울철 12℃ 등온선을 경계로 조수가 잘 통하는 암초지대에 주로 서식한다. 우리나라 서남해안의 섬인 진도군의 해안은 전복의 양식에 적합한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최근 진도군에서는 천연 미역과 다시마를 먹여 양식한 전복을 생산하고 있으며 현재 전국 생산량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진도에서는 전복을 회로 즐겨 먹는데, 이 외에도 전복죽, 전복찜, 전복장아찌 등으로 조리하여 먹기도 한다. 최근 진도군에서는 이를 이용한 전복장아찌 등 신상품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생태]

전복은 세계적으로 약 100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것은 까막전복, 말전복, 오분자기 등 10여 종이 있다. 크기가 큰 말전복은 각경이 250㎜ 이상, 크기가 작은 오분자기는 80㎜ 정도이며 11~12월에 산란한다.

암컷은 진한 녹색을 띠고 수컷은 노란색을 띠는데 산란기에는 이 색이 두드러진다. 껍질은 외짝으로 내면은 진주 광택이 강하게 나고 외면은 갈색 또는 청자색이며, 45개의 구멍이 나 있고 원추형으로 융기되어 있다.

[현황]

전복은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이용해 온 어패류의 하나이며 우리나라에서 어민들이 전복양식을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중반부터이다. 전복 양식의 사육환경과 사료에 대한 연구, 해상가두리를 이용한 전복양식 등 전복양식의 산업화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건강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하면서 미역, 다시마, 한약재 등 다양한 먹이를 이용한 양식도 시도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