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언문뒤풀이 장타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1744
한자 諺文-場打令
이칭/별칭 「품바 타령」,「각설이 타령」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집필자 남동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어희요
기능구분 어희요
형식구분 독창 및 합창
가창자/시연자 전유배
채록 시기/일시 1990년 - 「언문뒤풀이 장타령」 채록
채록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

[정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서 전해 내려오는 민요로 「각설이 타령」의 한 형태.

[개설]

「언문뒤풀이 장타령」은 「장타령(場打令)」[「품바 타령」] 또는 「각설이 타령」의 한 형태이다. 이 노래를 부르는 각설이는 조선 후기 유민(流民)의 일종으로 이들을 달리 장타령꾼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각설이들이 주로 지방 장터를 찾아다니며 문 앞에서 구걸을 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들 조직은 규율과 서열이 엄격했으며, 소리 공부를 열심히 했기 때문에 노래 솜씨도 뛰어났다. 이들의 생태와 노랫말은 신재효(申在孝)의 「박타령」과 「변강쇠 타령」에 전한다. “뚤울 뚤울 돌아왔소/각설이라 멱서리라/동서리를 짊어지고/뚤뚤 몰아 장타령”으로 시작되고, 그 뒤로는 각 고장의 장(場)의 이름을 그 지방의 내력·특징·고사 따위로 엮어 나간다. 노래의 사설에는 천대받던 유랑 집단의 애환이 배어 있으며, 사회 비판도 담겨 있다.

[채록/수집 상황]

이선주의 『한국의 민요』 인천 지역 편에 1990년에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에서 채록한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장타령」은 수없이 많은 사설을 가지고 있지만 인천에 전승되는 「장타령」은 하나[일]로 시작하여 열[십]로 끝내는 숫자풀이의 사설로 부르는 유형과 언문뒤풀이[국문뒤풀이]의 사설로 부르는 유형 등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지금 전승되는 「장타령」은 “작년에 왔던 각설이/죽지도 않고 또 왔네.”로 시작되는 것이 보통이며, 2음 1박자 4·4조로 부른다. 머리·허리·손·발을 흔들며 부르기 때문에 매우 흥겹게 들린다.

[내용]

얼씨구 씨구 들어간다/절씨구 잘이헌다//네 선생이 누구신지/날보덤두 잘이헌다//가나다라 아차 잠깐 잊었구나//기역 니언 디글을/기억자루다 집을 짓구//지긋지긋 사잣떠니/이년에 종친은 못하구나//가이갸 거이겨/가이 없는 이 몸이/거치 없이 되었구나//고오교 구우규/고생하던 우리 낭군/구차하기 짝이 없어//나냐 너녀/나귀등에 솔질하구/조선 십삼도 유람할까//노뇨 누뉴/노세 노세 젊어 노세/늙어지면 못노나니//다댜더뎌/다닥다닥 붙었든 정도/인정 없이 떨어진다//도됴두듀/돌아갔던 우리 낭군/어느 때나 오시려나//라랴러려/락락장송 언간생심 넘보는/저기 저 물에 원앙새야/너와 나와 짝을 짓자//로료루류/로류장화는 인계유지요/첩첩마다 있건만은//마이먀 머이며/마자마자 하였떠니/임에 생각이 절로 난다//모묘무뮤/모지도다 모지도다/한양낭군 모지도다//바뱌버벼/밥을 먹다 생각하니/임에 생각이 절로 난다//보뵤 부이뷰/보고지고 보고 싶고/한양낭군 보고 싶고//사샤서셔/사신행차 바쁜 길에/중간 참이 늦어간다//소쇼수슈/소슬단풍 찬바람에/울고 가는 저 기럭아/한양성내 가거들랑/이내 소식을 전쿠갑쇼//아야어여/아사담싹 안았던 손이/인정 없이 떨어진다//오요우유/오동복판 검은 구름/새줄을 매여 다느라구/백학이 벌써 제짐작한다/우줄우줄 춤만 춘다//자쟈저져/자중(주) 자중 만났던 님이/영소식이 무소식//조죠주쥬/조별 낭군도 내 낭군인데/편지일자가 동절이라//차차처쳐/차라리 죽었든들/이런 모습 아니 할 껄//초쵸추츄/초당 앞에 깊이 든 잠/학에 소래(리)에 놀래 깨어/그 학에 소래 간 곳 없구/들리나니 물소래(리)라//칼캬컬켜/용충드는 검은 칼로/이내 목을 버려줄까//콜쿄쿨큐/콜콜이 하세는 마음/어니(느) 누가 동정하랴//타탸터텨/타동타동 올타동 하는데/누구를 바라고 여기 왔나//토툐투튜/토지토지 임박토지/임을 보게 도와주소//파이퍄 퍼이펴/파요 파요 보고파요/임에 환영을 보고파요//포이표 푸이퓨/폭포수 흐르는 물에/풍긴둥실 빠졌드이면/이런 고생을 아니 헐껄//하햐허혀/한양낭군 내 낭군인데/소식조차 동절이라//호효후휴/허헌목에 먹은 마음/임에 생각이 절로 난다//얼씨구 잘이헌다/작년에 왔던 각설이가/죽지두 않구 또 왔네//과놔돠롸/영천거이 지내시는 길에/과문불입이 웬말인가

[현황]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일반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져 쉽게 접할 수 있는 「각설이 타령」과는 달리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서 채록된 「언문뒤풀이 장타령」의 가사는 처음 채록 시 가창했던 전유배 할아버지를 제외하고는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장타령」은 가사를 마음대로 할 수 있어, 부르는 사람이나 장소·시기에 따라 그 내용의 변화가 다양하다. 즉 즉흥성과 가사의 신축성이 「장타령」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언문뒤풀이 장타령」은 바로 이러한 「장타령」의 특징이 잘 드러난 노래로. 노래의 사설에는 천대받던 유랑 집단의 애환이 배어 있으며, 사회 비판도 담겨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