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701288
한자 密陽 嶺南樓
이칭/별칭 영남루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중앙로 324[내일동 40]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장동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4세기경 - 밀양 영남루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844년 - 밀양 영남루 재건
문화재 지정 일시 1963년 1월 21일연표보기 - 밀양 영남루 보물 제147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6월 29일 - 밀양 영남루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보물 지정 번호 삭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23년 12월 28일 - 밀양 영남루 국보 승격
현 소재지 밀양 영남루 - 경상남도 밀양시 중앙로 324[내일동 40]지도보기
원소재지 영남루 - 경상남도 밀양시 중앙로 324[내일동 40]
성격 누각
양식 팔작지붕
정면 칸수 5칸
측면 칸수 4칸
소유자 국유
관리자 밀양시
문화재 지정 번호 국보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에 있는 조선 후기 누각.

[개설]

밀양 영남루(密陽嶺南樓)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에 있는 밀양도호부 객사의 부속 건축물이다. 통일신라 경덕왕 때 창건된 영남사(嶺南寺)에 부속된 작은 누각을 1365년(공민왕 14) 밀성군수로 부임한 김주(金湊)[1339~1404]가 크게 중수하면서 영남루라고 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위치]

밀양 영남루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 40번지에 있다. 밀양읍성 내 있으며, 밀양강을 접한 곳에 있다. 밀양 영남루 주위에는 단군을 비롯한 우리나라 역대 8왕조의 시조 위패를 봉안한 밀양 천진궁, 아랑낭자의 전설을 간직한 아랑사, 500여 년을 이어 온 밀양읍성, 천년 고찰 무봉사 등이 있다.

[변천]

밀양 영남루는 고려 이래 사찰의 부속 건물이었지만, 주로 빈객들의 유연(遊宴)과 시인 묵객들의 음영(吟詠) 장소로 활용되었다. 조선시대에 밀양부사 안질(安質)이 처음으로 크게 본루를 중수하였고, 서편에 따로 작은 누각을 하나 더 세워 ‘소루(召樓)’라고 하였다. 이후 부사 이충걸(李忠傑)이 소루를 중수 개조하여 임경당(臨鏡堂)이라 불렀다가 뒷날 침류당(枕流堂)으로 이름을 고쳤다. 연산군 때 부사 김영추(金永錘)가 본루 동북편 모서리에 망호당(望湖堂)이라는 부속 건물을 세워 빈객들의 숙소로 삼았는데, 뒷날 본루 남쪽으로 옮겨서 능파당(凌波堂)이라 하였다. 이로써 영남루는 좌우익 날개 건물을 거느린 웅장한 규모의 누각을 갖추었다. 영남루임진왜란 때 전소된 이후에도 여러 번 화재를 입었으나, 역대 밀양부사들이 계속 중수를 거듭하며 보존하여 왔다. 1834년(순조 34) 경내 모든 건물이 전소된 후 부임한 부사 이인재(李寅在)가 1844년(헌종 10)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전면 개창하였다. 1894년 밀양의 동학농민운동 때 일본군의 주둔지로 강점당하였고, 1920년대 중반 한때 나병 환자의 수용소가 되기도 하였다. 광복 이후 점차 정비되어 현재의 모습에 이르렀다.

[형태]

밀양 영남루는 정면 5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의 2층 본루가 있고, 좌우에 3칸의 능파각과 침류각이 있다.

[현황]

밀양 영남루는 1960년 경내 환경 정비 후, 1963년 1월 보물 제147호로 지정되고, 1988년 이후 1996년까지 4차례의 보수 공사를 거쳤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2023년 12월 28일 국보로 승격 지정되었다. 밀양 영남루에는 이황, 이색 등 밀양 영남루를 거쳐 간 여러 문사와 명현들의 시문 편액이 남아 있다.

[의의와 평가]

밀양 영남루는 경상남도 밀양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는 목조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