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관식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0372
한자 金冠植
영어음역 Gim Gwansik
이칭/별칭 우현(又玄),추수(秋水),만오(晩悟)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형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인
출신지 충청남도 논산
성별
생년 1934년연표보기
몰년 1970년연표보기
대표경력 서울상업고등학교 교사|세계일보 논설위원

[정의]

논산 출신의 시인.

[개설]

김관식은 1934년 현재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에서 출생하였고, 논산시 강경읍의 중앙보통공립학교를 거쳐 강경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50년 강경상업고등학교 2학년 시절 남한의 여러 문인들을 찾아다니면서 본격적으로 시 공부를 시작하였다. 이후 충남대학교에 입학하였다가 고려대학교로 전학하고, 다시 동국대학교로 편입하였다.

대학교에 다니면서 정인보, 오세창, 이병기 등에게서 『주역』, 『반야심경』, 『동의보감』과 당시(唐詩)를 배우고, 김영랑, 서정주, 조지훈, 최남선 등의 유명 시인들에게서 시작법을 익혔다. 1955년 서정주가 「연(蓮)」, 「계곡에서」, 「자하문 근처」 등의 시를 『현대문학』에 추천하면서 정식으로 등단하였다. 이후 많은 시들을 발표하면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다가 1970년 37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활동사항]

김관식은 등단 이후 꾸준히 시를 발표하였고, 사서삼경의 하나인 『서경(書經)』을 번역하기도 하였다. 어려서부터 한학과 서예를 익히고 성리학과 동양학을 배웠기 때문에 김관식의 시에는 동양인의 서정세계와 동양적인 감성이 드러나 있다. 특히 노장사상에 근거를 둔 낙원의식과 상고주의(尙古主義) 경향은 1950~1960년대 시단에서 매우 독특한 개성으로 간주되었다.

김관식은 1950~1960년대 문단에 많은 화제를 뿌리며 세간의 주목을 받았으며, 온갖 기행과 독설을 일삼아 괴짜시인, 광인 등으로 불리며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여주농업고등학교, 서울공업고등학교, 서울상업고등학교 등의 교사를 역임하였고, 잠시 『세계일보』 논설위원을 지냈으며, 4·19혁명 후에는 민의원에 출마하기도 하였다. 민의원 선거에서 훗날 국무총리를 지냈던 장면(張勉)과 겨루었으나 결국 낙선하였다.

[저술 및 작품]

초기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동양의 산맥」, 「산」, 「다시 광야에」, 「양생수(養生修)」, 「시상부(柴桑賦)」, 「해일서장(海溢序章)」, 「통곡」, 「광란의 해후」 등이 있다. 이 작품들을 통해 관조적인 인생관, 청빈하고 가난한 삶, 순수 자연에 대한 예찬 등을 형상화하였다.

후기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옥루(屋漏)의 서(書)」, 「가난 예찬」, 「지치장(舐痔莊)에게」, 「수전노에게」 등이 있다. 이 작품들을 통해 세속적인 욕망과 속물적 삶을 지양하고 정신적인 지조를 지키면서 청렴하게 살아가려는 인생관을 형상화하였다. 특히 「병상록」, 「호피(虎皮) 위에서」, 「거산호(居山好) 2」 등은 죽음에 임박하여 쓴 작품들로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가난의 비애 가운데서도 불의와 타협하지 않겠다는 의연한 삶의 태도를 보인다.

저술로는 『낙화집』(1952), 『해 넘어가기 전의 기도』(1955), 『김관식 시선』(1956) 등의 시집과 유고 시전집인 『다시 광야에』(1976)가 있으며, 번역서로서는 『서경』, 『노당한시존(老棠漢詩存)』 등이 있다. 이후 아내 방옥례에 의해 『대한민국 김관식』(1983)이 발간되고, 논산시 주관으로 박용래 시인과의 공동 추모문집인 『땅에도 별이 뜬다』(1997)가 간행되었다.

[상훈과 추모]

김관식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는 시비가 대전광역시의 보문산과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강경상업고등학교 교정, 논산 공설 운동장과 그의 고향인 소룡리에 세워졌다. 시비에는 그의 대표작인 「다시 광야에서」와 「이 가을에」가 각각 새겨져 있다. 한편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소룡리 생가터가 보존되어 전해지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7.04.26 시비, 참고문헌 내용 수정 [상훈과 추모] 시비가 대전광역시의 보문산과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강경상업고등학교 교정에 세워졌다. -> 시비가 대전광역시의 보문산과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강경상업고등학교 교정, 논산 공설 운동장과 그의 고향인 소룡리에 세워졌다. [참고문헌] 박용래, 「땅에도 별이 뜬다」(『김관식시비제막기념문집』, 논산시시비건립추진위원회, 1997) -> 권선옥 편, 『땅에도 별이 뜬다』( 논산시시비건립추진위원회, 1997)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