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101621 |
---|---|
한자 | 瑞山- |
이칭/별칭 | 화간제,화간,화적,노적가리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충청남도 서산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성복 |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에서 음력 1월 15일과 2월 1일에 풍년을 기원하는 의례를 재구성하여 연출한 민속놀이.
[개설]
서산볏가릿대놀이는 서산 지역에서 전승되는 볏가릿대 세우기와 화간제(禾竿祭) 등을 민속놀이로 재구성한 것이다. 서산볏가릿대놀이는 1985년 강원도 강릉에서 열린 제26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충청남도 대표로 출연하여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면서 전국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충청남도 서산시 인지면 야당리에서 전승되는 볏가릿제를 민속놀이로 재구성한 서산볏가릿대놀이는 당시 김현구 서산문화원장이 구성 연출을 맡았다.
서산볏가릿대놀이는 입장, 지신밟기, 볏가릿대 세우기, 화간제, 농사놀이, 볏가릿대 눕히기 등 여섯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절차]
1. 입장
볏가릿대 농악과 함께 농기, 제관, 제물을 인 아낙네, 섬을 진 농부, 작도, 쟁기, 써레를 진 농부, 마을 주민 순으로 흥겹게 춤을 추면서 입장을 한다.
2. 지신밟기
정월 열 나흗날[음력 1월 14일] 저녁, 풍물꾼들은 농기를 앞세우고 대동샘으로 가서 샘굿을 한다. 상쇠의 선소리로 “물주시오 물주시오 용왕님네 물주시오/ 뚫어라 뚫어라 물구녕만 뚫어라.”라고 「고사덕담」으로 사시사철 맑은 물이 철철 넘치기를 축원한다. 샘굿을 마치면 집 마당으로 가서 일 년 내내 무탈하기를 비는 지신밟기를 한다. 이때 마을 곳곳에서는 한 해 동안 마을의 액운을 몰아내는 모닥불을 피운다.
3. 볏가릿대 세우기
마을 주민은 산에서 나무를 베어다가 볏가릿대를 만든다. 장대의 꼭대기에는 벼·보리·조·팥·기장 등 오곡을 달아매고, 벼이삭이 늘어진 모양으로 동아줄을 거꾸로 틀어 줄을 늘여 대동샘 옆에 볏가릿대를 세운다. 이때 나무 메를 든 주민은 자기 땅을 넓히고자 하는 소망을 “여기도 내 땅, 저기도 내 땅!” 하고 외치며 마당 찧기를 한다.
4. 화간제
이월 초하루[음력 2월 1일]가 되면 볏가릿대 앞에 제상을 차려 놓고 제를 올린다. 영좌가 샘물을 퍼서 세수를 한 다음 “전지전능하신 신령님께 비나이다. 입은 덕도 많지만은 금년에도 우리 조선 삼천리 팔도강산에 삼재를 물리치고, 풍년이 들게 하시고, 온 백성들이 부귀등명하며, 자손마다 안과태평하게 하여 주시길 두 손 모아 비나이다.”라고 비손을 하면, 주민은 모두 함께 재배한다. 그런 다음 집사가 제물을 바가지에 담아 “동서남북 오고가는 잡귀 잡신은 다들 먹고 물러가라! 고수레!” 하면서 잡귀신을 몰아내면 술과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이때 어디선가 난장이가 나타나서 들어오면 짤랑 벼가 생겨 흉년이 든다 하여 쫓아내고, 키 큰 사람이 들어오면 키도 크고 대풍이 든다 하여 기뻐하며 후하게 대접한다.
5. 농사놀이
화간제를 마친 주민들이 대동 놀이를 펼치는 마당이다. “우리 한바탕 놀아 보세!”라는 영좌의 외침과 더불어 주민들은 한데 어우러져 논갈이·써레질·벼 타작 등의 농사 놀이와 씨름을 하며 흥겹게 놀이를 한다. 그리고 신명나는 농악의 가락에 맞추어 오무동(五舞童) 서기로 절정을 이룬다.
6. 볏가릿대 눕히기
마당놀이가 끝날 무렵 마을 사람들은 「상사디야」를 부르며 볏가릿대를 눕힌다. 이때 영좌가 볏가릿대에 매달았던 오곡을 풀어서 싹이 튼 상황을 보고 “오곡이 모두 싹이 잘 텄으니 올해는 풍년이 들겠네!/ 벼 만석이요!/ 보리 오천석이요!/ 조 삼천석이요/ 기장 일천석이요!”라고 외친다. 그 소리를 듣고 주민은 모두 풍년을 맞이하는 기쁜 함성을 지른다. 그리고 쓰러뜨린 볏가릿대 줄은 작도로 썰어서 오곡과 함께 섬에 담아 집으로 향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볏가릿대는 지역에 따라 노적가리·낟가릿대·베가레·벼장대·유지기·화적(禾積)·화간(禾竿)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그 명칭에서 잘 드러나듯이 볏가릿대는 벼가 풍년이 들어 늘어진 모양 또는 노적가리의 형태를 형상화한 것이다. 특히 볏가릿대를 세우는 삼방줄에 볏짚을 촘촘하게 끼워서 낱알이 많이 달린 벼이삭을 모방한 것은 풍농을 예축(豫祝)하는 모방 주술의 의미가 강하게 내포되어 있다. 이처럼 정월 대보름[음력 1월 15일]에 볏가릿대를 세우고, 이월 초하루[음력 2월 1일] 머슴날 이를 쓰러뜨리며 풍년을 기원하는 의식은 서산 지역을 비롯한 내포 지역 민속의 중요한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