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초록리 용대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1689
한자 草綠里龍大旗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초록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성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보수|복원 시기/일시 1958년 겨울연표보기 - 초록리 용대기 제작
현 소장처 초록리 용대기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초록1리
성격 두레의 농기
재질 광목
크기(높이,길이,너비) 258㎝[가로]|238㎝[세로]
소유자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초록1리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초록1리에서 두레의 상징인 용대기를 다시 그린 깃발.

[개설]

서산시 고북면 초록리에는 예부터 내려오는 용대기가 있었다. 주민들에 따르면 이 용대기는 주변 마을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어서 예전에 두레가 나면 다른 마을에서 모두 초록리의 깃발을 보고 예를 갖추었다고 한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너무 낡고 헤진 까닭에 50여 년 전 옛 용대기를 이모하여 다시 기를 제작하였다. 용대기 우측의 하단에는 ‘서산시 고북면 초록1구 단기 4291년 음11월 14일’이라 묵서되어 있어 1958년 겨울에 용대기를 그렸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용대기를 만들 때는 김동우를 비롯하여 솜씨 좋은 마을 주민 몇몇이 용포(龍袍)에 손수 그림을 그렸고, 글씨는 필체가 뛰어났던 이용택이 묵서한 것으로 전해진다.

[형태]

초록리 용대기의 크기는 가로 258㎝, 세로 238㎝이고, 기폭의 3면에는 길이 30㎝의 검정색 지네발을 장식하였다. 농기의 형태는 기폭의 한복판에 여의주를 물고 구름에 휩싸인 채 하늘로 올라가는 청룡의 모습이 생생하게 묘사되었다. 기폭의 우측 상단에는 ‘노룡득주국태민안(老龍得珠國泰民安) 흑운양우시화연풍(黑雲釀雨時和年豊)’, 즉 ‘노룡이 여의주를 얻으니 나라가 평안하고, 먹구름이 비를 뿌리니 시절이 화평하고 풍년이 든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이로써 화평한 세월과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주민들의 간절한 소망을 엿볼 수 있다.

[특징]

용대기의 우측 상단에는 전서체로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을 한자로 묵서하였다. 이를 통해 초록리의 두레기는 용대기를 근본으로 하면서도 농기의 특징이 혼효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초록리에서는 영기(令旗)를 따로 가지고 다닌 것이 아니라 두레가 소멸되기 직전인 일제 강점기까지도 용대기의 꿩장목 밑에 매달아 함께 다녔다고 한다. 영기는 사각형의 작은 기폭에 ‘영(令)’을 묵서한 형태였으며, 당시에는 영기를 꽂는 일지창이나 삼지창, 깃대 등이 없었다고 전한다.

[참고문헌]
  •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서산 초록리』(민속원, 2010)
  • 인터뷰(서산시 고북면 초록리 주민 김대석, 남, 81세, 2007. 12. 26)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