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901080
한자 住生活
영어공식명칭 Housing Life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기도 시흥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목진호

[정의]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주거와 관련된 생활문화.

[개설]

시흥 지역의 가옥은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개방적 형태를 지녔는데, 가옥의 구조는 일자식(一字式), ㄱ자식(-字式), ㄷ자식(-字式), ㅁ자식(-字式)의 형태를 많이 보인다. 가옥 안에는 경리 시설(經理施設), 취사 설비(炊事設備), 수장 시설(收藏施設), 난방 시설(煖房施設), 정원 시설(庭園施設) 등의 시설물과 설비가 있어서 시흥 지역의 특징을 잘 드러낸다. 또한 가옥 공간의 기능 면에서도 이 지역의 특색을 갖추고 있다.

[가옥의 구조]

1977년에 이루어진 민속 조사에 의하면, 시흥 지역 가옥의 구조는 일자식, ㄱ자식, ㄷ자식, ㅁ자식 등 네 가지 방식으로 구분된다. 일자식 구조는 각 한 칸씩의 부엌과 방으로 이루어진 집이다. 1995년 시흥시 포동 엄원섭의 집에서 지역 사례를 볼 수 있다. 엄원섭의 집은 일곱 칸 곱은 자[r형] 중앙 대청형의 구조이며 동북 쪽에 안방이 있다. 동남쪽에 부엌과 광이 놓이며 중앙에 대청마루와 대문이 있다. 서북쪽에는 건넌방이 있는데, ㄴ자의 넓은 앞마당을 가진 집의 구조를 갖추었다.

ㄱ자식의 구조는 집과 마당이 대칭을 이루는 구조를 취한다. ㄷ자식의 구조는 근대적 소농가의 구조로 포동 새우개마을에서 조사되었다. 이 집의 구조는 마당이 중심이 되며 안채와 행랑채, 그리고 헛간채로 구성된다. ㅁ자식은 1991년 시흥시 계수동 황현휴의 집에서 볼 수 있는데 집의 규모가 크다. 이 집의 구조는 동북쪽 구석에 안방이 자리하고, 안방에서 서쪽으로 마루와 건넌방 등이 있으며 남쪽으로 부엌이 ㄱ자 구조를 이룬다. 헛간과 광 등은 안채와 대각선 방향에서 ㄴ자를 이루며 전체적으로 ㅁ자를 이루고 있는 형태이다.

[가옥의 특징]

1988년에 발행된 『시흥군지』의 기록에 의하면, 시흥 지역 가옥의 특징은 시설물과 설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시설물과 설비는 경리 시설, 취사 설비, 수장 시설, 난방 시설, 정원 시설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경리 시설은 헛간과 뒷간, 축사 등을 말한다. 헛간에는 농사에 필요한 농기구나 짐 등을 보관하는데, 뒷간과 축사 근처에 두며 집의 밖에 외딴채로 설치된다. 축사는 외양간이라고 하며 닭이나 돼지, 소 등을 키우는 곳이다. 뒷간은 부엌과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해 왔다. 여자 변소는 집 안에 있었는데 반해 남자 변소는 바깥마당에 만들었으나, 현대에 와서는 공동으로 사용하는 추세이다.

취사 설비는 상하수 시설, 부뚜막, 개수대 등이 있다. 과거에는 부엌과 가까운 곳에 펌프가 있거나 우물이 있었고, 하수는 우물이나 펌프 옆으로 도랑을 파서 물이 흘러내려 땅속으로 스며드는 식이었다. 부뚜막에는 솥이 있고, 아궁이는 안방 쪽으로 향하게 되어 있다. 개수대는 오늘날의 싱크대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통 개수물 통을 따로 두었다.

수장 시설로는 이불장과 옷장을 안방에 주로 두었고, 부뚜막 위로 벽장을 만들어 바느질 용구를 넣어 두기도 했다. 난방 설비는 땔감을 사용하는 온돌식이었다. 시흥군 소래읍 포1리[지금의 시흥시 포동]의 경우는 아궁이가 2개소인 경우가 많았고, 간혹 3개소도 있었으며 굴뚝을 아궁이 반대편 쪽에 놓았다. 정원 시설로는 집의 뒤쪽에 과실수를 주로 심었고, ㅁ자형 집의 경우 앞쪽에도 심었다. 화단은 따로 두지 않았고 텃밭을 주로 두어 야채를 길러 먹었으며 텃밭의 규모가 비교적 작았다.

[공간의 기능]

공간의 이용은 생활 일반, 취침, 접객, 식사로 구분할 수 있다. 생활 일반은 한 집에 몇 세대가 거주하느냐의 문제이고, 취침은 잠자리에 관련된 문제로 누가 안방이나 사랑방에서 잠을 자는지에 대한 문제이다. 또한 취침에서 중요한 점 중 한 가지는 북쪽으로 머리를 두지 않는다는 점이다. 접객은 손님을 접대할 때 윗목과 아랫목 중 윗목을 상석으로 한다는 점이고, 마루에서는 성주단지 놓인 자리가 상석이 된다. 식사는 평상시 안방에서 하지만 여름에는 마루를 이용하고, 저녁식사는 가끔 마당에서 하기도 한다.

현재에는 1970년대 이후 양옥의 형태로서 현대식 단독주택과 아파트가 대규모로 보급되면서 전통적인 한옥은 줄어들었으나, 새롭게 건축되는 현대식 한옥집이 만들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