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600071 |
---|---|
한자 | 湖水 |
영어공식명칭 | Lake |
영어의미역 | Lake |
영어공식명칭 | Lake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남도 순천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성열 |
[정의]
전라남도 순천 지역에서 땅이 우묵하게 파여 못이나 늪보다 깊고 넓게 물이 괴어 있는 곳.
[형성과 구분]
요지(凹地)에 물이 괸 곳을 호·소·못이라고 하는데, 못(pool)은 수면의 면적이 작은 것을 말하고, 호수(lake)는 수심 5m 이상인 것, 소 또는 소택(swamp)은 수심 5m 미만의 것을 말한다. 전라남도 순천 지역의 호수[저수지]는 수심 5m 이상의 호수를 조사 대상으로 한다. 또한, 호수는 물의 성질이나 수온, 생물학적인 기준, 성인 등에 의해서도 분류할 수 있는데, 순천 지역의 호수는 담수호이며, 여름에는 표면 수온이 4℃ 이상이고, 겨울에는 4℃ 이하로 되어 일시 결빙하는 일도 있는 온대호(temperate lake)이다. 또한, 생물학적 분류로는 생물생존의 조건이 갖춰진 곳으로 부영양호(eutrophic lake)이다.
전라남도 순천 지역에서 호수로 불리는 것은 주암호와 상사호가 있으며, 나머지 저수시설은 저수지나 제로 불린다. 주암호와 상사호는 홍수조절, 수력발전, 관개 및 상수, 공업용수 공급 등의 여러 목적을 위한 댐을 축조함으로써 형성되었다. 저수지는 사람들이 순천 지역에서 벼농사를 하면서, 논에 관개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축조한 것이다. 순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저수지들은 하곡을 가로질러 제방을 축조함으로써 만들어졌으며, 대부분 해방 이후에 만들어진 것이다.
[분포]
전라남도 순천 지역에는 2개의 호수와 30여 개의 저수지와 제가 있다. 이들 수리시설은 동부(洞部)에 4개가 자리 잡고 있으며, 나머지는 읍·면에 위치한다. 주암호와 상사호는 호남정맥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위치하는데, 상사호는 주암호의 조절지 댐으로서 호남정맥 밑으로 도수터널을 통해 연결된다. 저수지를 수계에 따라 구분하면 섬진강 수계와 남해로 유입하는 하천 수계로 나눌 수 있다.
섬진강 수계에 있는 저수지를 다시 지류 하천별로 세분하여 분포 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데, 송광천 수계에 있는 오룡저수지, 후곡천 수계의 후곡제, 광천 수계의 비룡저수지, 주암천 수계의 행정저수지, 황전천 수계의 운월·월곡저수지 등이 섬진강 수계에 해당하는 저수지이다.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구룡리에 있는 오룡저수지는 주변 곡저평야 지역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축조되었다. 주변 경지는 논으로 이용되며, 부분적으로는 시설 작물 재배지도 존재한다. 후곡제는 송광면 후곡리에 위치하며, 배후산지인 모후산에서 흘러오는 계곡물을 제방으로 막아 만든 계곡형 저수지로 산간분지의 농경지에 생명수를 공급한다. 그 외 대부분의 저수지는 모두 계곡형 저수지 형태를 띠며, 농경용으로 축조되었다.
남해로 유입하는 하천 수계에 속하는 저수지는 낙안천 수계의 상송제, 동룡천 수계의 대동저수지,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우산천 수계의 운천저수지, 동천 수계의 와룡·석현저수지, 해룡천 수계의 조례저수지 등이 있다. 상송제는 금전산에서 발원한 낙안천 상류의 하곡을 막아 축조된 계곡형 저수지이며, 낙안읍성 배후 광활한 농경지에 관개용수를 공급한다. 대동저수지는 500m가 넘는 호사산-오봉산-제석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에서 발원한 동룡천 상류의 하곡을 제방으로 막은 계곡형 저수지이다. 운천저수지는 운동산에서 발원하여 순천만으로 유입하는 우산천의 상류 하곡에 축조된 계곡형 저수지로 순천만 일대의 간척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와룡저수지는 순천시 구도심에 거주하는 시민들의 생활용수로 공급되며 홍수 예방 기능을 수행하며, 석현저수지는 주변 경관이 수려하고 청정하여 순천시민들의 여가 공간이자 홍수 예방 차원에서 중요한 곳이다. 조례저수지는 순천시 신도시인 왕지지구에 위치하며, 시민들의 휴식 공간의 기능과 홍수 조절지로서의 구실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