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600428
한자 仙巖寺雲水庵木造觀音菩薩坐像
영어공식명칭 Wooden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at unsuam Hermitage of Seonamsa Temple
영어음역 Wooden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at unsuam Hermitage of Seonamsa Temple
영어공식명칭 Wooden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at unsuam Hermitage of Seonamsa Temple
분야 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불상
지역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죽학리 80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장모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644년연표보기 - 선암사 운수암 목조관음보살좌상 조성
현 소장처 선암사성보박물관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죽학리 802]지도보기
원소재지 선암사 운수암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죽학리 802]지도보기
복장 유물 소장처 선암사성보박물관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죽학리 802]지도보기
성격 불상
재질 나무
크기(높이) 58㎝
소유자 순천 선암사
관리자 순천 선암사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성보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불상.

[형태]

순천 선암사 운수암선암사 북동쪽으로 난 산길을 따라 1㎞가량 오르면 나타나는 암자이다. 운수암이 언제 창건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가장 빠른 기록으로는 1644년 탄해(坦海) 비구에 의해 목조관음보살 좌상이 조성되었다는 보살상의 대좌 묵서여서, 17세기 중반에는 암자가 존재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1719년 「선암사 조계문 중창상량문」, 1780년 「선암사 원통전 첨성각 상량문」, 1844년 「선암사 천불전 중수상량문」, 1860년 「선암사 대각암 대선루 상량문」, 1893년 「창파당 상량문」 등에 운수암이 기록되어 있어 조선 후기 동안 계속해서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선암사 운수암 목조관음보살좌상은 운용문 등 화려한 조각이 장식된 불장 안에 대좌와 함께 보살상을 조각하였다. 불장에는 기록이 없어 보살상과 같이 조성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머리에는 꽃 모양으로 능을 준 모판(母板)에 불꽃무늬, 국화 무늬 등을 별도로 조각하여 부착한 조선 후기의 일반적인 보관을 쓰고 있다. 보관에는 화불을 표현하지 않았다. 보관 정면에는 금속판에 수정을 끼워 넣어 장식하였으며, 관대가 바람에 날리듯 표현되었다. 상투는 높이 솟아 있어 고식에 속하고, 보관 아래 머리카락은 모발의 가닥을 나누어 빗질하듯 세세히 새겼으며, 뒷면은 가닥을 나누지 않고 모발을 새겼다. 보발은 양쪽 귀를 타고 내려와 어깨 중간까지 자연스럽게 세 가닥으로 뻗어있다.

방형의 얼굴은 턱이 둥글고 양 볼은 평면적이고, 눈꼬리가 약간 올라가고 반개한 눈 때문에 자비스러움은 반감하였다.

착의법은 군의(裙衣)[허리에서 무릎 아래를 덮는 긴 치마 모양의 옷], 승기지(僧祇支), 복견의(覆肩衣), 대의(大衣)[설법하거나 걸식을 할 때 입는 승려의 옷]가 갖추어져 있는데, 가장 바깥에 입은 대의는 통견으로 착용하였다. 정면에서 볼 때, 좌우 어깨에 걸친 옷은 복견의이고, 오른쪽 어깨와 팔에 걸쳐진 옷은 대의로 확인되었다. 목 양옆으로는 대의 위에 걸쳐 깃처럼 보이는 옷이 있는데, 보살상의 뒷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듯이 대의 속에 입은 복견의를 깃처럼 접어놓은 모습이다. 좌측 어깨 정측면에는 왼쪽 어깨로 넘겨진 대의 자락이 자연스럽게 어깨에서 무릎까지 흘러내리고 있다. 가슴에 입은 승기지는 상단을 수평으로 접고 있다. 수인은 두 손 모두 엄지와 3·4지를 구부려 맞대고 있는 미타정인이다.

하반신은 어깨와 비례하여 길이는 알맞지만, 높이가 낮아 안정감을 잃고 있으며, 양발은 옷자락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다리 위에 조각된 옷 주름은 가는 양각선으로 우측에 4줄, 좌측에 3줄이 묘사되어 있으나 평면적이다.

대좌는 보살상과 함께 조각하였는데, 형태는 타원형으로 상·하의 앙련[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무늬]과 복련[꽃부리가 아래로 향한 연꽃무늬]이 돌려져 있다. 대좌 밑에는 타원형의 복장공이 있으며, 주위로 복장기가 기록되어 있다.

[특징]

선암사 운수암 목조관음보살좌상은 대좌와 보살상을 같이 조각하였는데, 대좌에 묵서로 “태순일년(太順一年) 갑신(甲申) 오월일(五月日) 조계산(曹溪山) 선암사(仙巖寺) 초청각당주(招淸閣堂主) 증명(證明) 의정비구(義淨比丘) 화주(化主) 탄해비구(坦海比丘) 별좌(別座) 덕령비구(德令比丘) 화공(畵工) 학한비구(學閑比丘) 대시주(大施主) 옥수비구(玉修比丘)”라 기록되어 있는데, 태순일년은 중국 명말 농민반란세력인 장헌충(張獻忠)[1368~1644]이 세운 서(西)나라의 연호인 ‘대순(大順)’의 오기로 보여 1644년(인조 22)에 탄해 비구가 화주가 되어 승려 학한에 의해 조성된 보살상임을 알 수 있다.

최근의 선암사 운수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 조사 결과 「묘법연화경 1-3」 2권, 다라니 등이 발견되었다. 묘법연화경은 언제 간행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권3의 마지막에 “황진손서(黃振孫書)”라고 한 것으로 보아, 세조~성종 연간(1457~1494)에 황진손의 판하본(板下本)을 바탕으로 간행한 것이라고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선암사 운수암 목조관음보살좌상의 머리 뒷면까지 모발을 세세하게 표현한 것은 1612년(광해군 4) 상련대 목조보살좌상, 1615년(광해군 7) 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등 17세기 전반에 조성된 불상에서 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그러나 선암사 운수암 목조관음보살좌상의 평면적인 얼굴 표현, 무릎의 높이가 낮아 안정감을 잃고 있는 점, 하반신의 옷 주름이 평면적인 점 등은 17세기 전반의 다른 불상에 비해 조각 수법이 떨어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