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000516 |
---|---|
한자 | 九岩里遺蹟 |
영어공식명칭 | Historic Site Related to Guam-ri |
분야 | 문화유산/유형 유산,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구암리 산98-1 일대 |
시대 | 선사/청동기,선사/철기,고대/초기 국가 시대 |
집필자 | 한수영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9년 - 구암리 유적 지표조사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10~2011년 - 구암리 유적 발굴조사 |
현 소재지 | 구암리 유적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구암리 산98-1 일대 |
출토 유물 소장처 | 국립전주박물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249 |
성격 | 집자리 |
크기(높이,길이,둘레) | 제의유구: 남북길이 466㎝, 동서 너비 316㎝|환호: 동서길이 20m|청동기 시대 주거지: 길이 262~750㎝ 이상, 너비 262~400㎝ 내외|원삼국 시대 주거지: 길이 262~836㎝, 너비 282~412㎝ 내외 |
관리자 | 국립전주박물관 |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구암리 산98-1 일대에서 확인된 청동기시대 집자리와 제의유적.
[개설]
구암리 유적은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시행하는 금강[Ⅱ]지구 토목공사구간에 포함되어 군산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문화재 조사가 이루어졌다. 지표조사는 2009년 실시되었으며, 발굴조사는 2010년부터 2011년에 걸쳐 진행되었다. 발굴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제의유구와 환호, 주거지 10기, 원삼국시대 주거지 8기가 확인되었다.
[위치]
구암리 유적은 호남고속도로와 익산-장수간 고속도로가 만나는 익산분기점의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해발 80m 내외의 구릉성 산지에 입지해 있으며, 주변에는 해발 50~70m 내외의 구릉과 만경강으로 합류하는 소하천, 충적대지가 조성되어 있다.
[형태]
청동기시대 제의유구는 구릉의 최정상부에 조성되었으며, 제의유구를 환호가 둘러싸고 있는 형태이다. 제의유구는 평면 삼각형으로 남북길이 466㎝, 동서 너비 316㎝이며, 내부에서는 소토층과 소형할석[깬 돌]이 반복적으로 퇴적된 양상을 보이고 있어 불과 관련된 행위가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제의유구를 감싸고 있는 환호는 동서길이 20m 내외를 이룬다. 청동기시대 집자리는 평면 장방형으로, 길이는 262~750㎝ 이상, 너비는 262~400㎝ 내외이며, 내부에서는 노지와 주공·벽구가 확인되었다. 원삼국시대 주거지는 구릉의 사면부에 조성되었다. 평면형태는 [장]방형계로 규모는 길이 262~836㎝로 다양하며, 너비는 282~412㎝ 내외를 이룬다. 내부에서는 화덕과 주공·구들시설이 확인되었다.
[현황]
구암리 유적은 조사 완료 후 관로 매설공사가 진행되었으며, 공사 후 복토되어 원래 지형을 유지하고 있다.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유물은 국고로 귀속되어 국립전주박물관에 소장되었다.
[출토유물]
청동기시대 유적에서는 다량의 토기류와 석기류가 출토되었는데, 토기류는 바닥이 판판한 발형의 민무늬토기로 소위 가락동식토기로 알려진 이중구연단사선문토기[겹아가리짧은빗금무늬토기]가 대표적이며, 구순각목문토기[골아가리구멍무늬토기]와 공열문토기[구멍무늬토기] 등 청동기시대 전기를 대표하는 다양한 유형이 확인되었다. 석기류는 피홈[血溝]을 갖춘 돌칼·석촉[돌로 만든 화살촉]을 비롯하여 반달모양돌칼 등이 출토되었다. 원삼국시대 유물은 발과 호·장란형토기·시루 등이 다수를 이루며, 그물추·가락바퀴·석촉 등이 출토되었다. 이외에 1호 주거지에서는 숯과 철재가 용착된 소량의 노벽편이 수습되어 집자리 안에서 제철작업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구암리 유적은 농업용수로 관로가 매설되는 협소한 범위에 한정하여 조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학술적으로 중요한 성과가 도출되었다. 청동기시대 의례를 추정해 볼 수 있는 제의와 환호유구를 비롯하여 호남 지역에서는 조사 예가 많지 않은 청동기시대 전기 주거지가 군집으로 확인되어 한반도 중서부지역 전기 문화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유구는 기원전 11~9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판단되며, 호남 지역에서 처음으로 청동기시대 전기의 제의유구와 취락 유적이라는 점에서 향후 청동기시대 문화상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원삼국시대 집자리에서는 제철과 관련된 노벽과 슬래그[광석으로부터 금속을 빼내고 남은 찌꺼기]가 확인되어 주목되며, 5세기를 전후한 원삼국시대 주거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