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당유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1329
한자 一山堂遺稿
영어공식명칭 Ilsandangyugo (Collection of Jeon Ok-hyeon's works)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낙평리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박순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70년연표보기 - 『일산당유고』 간행
소장처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1가 664-14
성격 문집
저자 전옥현(全玉鉉)
편자 전태연
간행자 전태연
권책 2권 1책
행자 12행 24자
규격 26.5×18.0㎝
어미 상하향2엽 화문어미
권수제 일산당유고(一山堂遺稿)
판심제 일산당유고(一山堂遺稿)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낙평리 출신의 근대 한학자인 전옥현의 문집.

[개설]

『일산당유고(一山堂遺稿)』는 근대의 한학자인 전옥현의 문집으로, 1970년 조카 전태연(全泰然)이 2권 1책으로 간행하였다.

[저자]

전옥현(全玉鉉)[1869~1935]의 본관은 천안(天安)이며, 자는 희범(希範), 호는 일산당(一山堂)이다. 근대의 한학자로,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낙평리에서 태어났다. 명천재(明天齋) 전구현(全九鉉)의 아우이다. 그의 형 전구현이 지은 『일산당서(一山堂序)』에 “희범(希範)이는 소박하게 산에 깃들어 살려는 의취가 있어 사람 사는 세상에는 뜻이 없었다”라고 하였는데, 1910년 경술국치 후에는 세상에 나오기를 꺼리고 산수를 벗하며 일생을 보냈다.

[편찬/간행 경위]

『일산당유고(一山堂遺稿)』전옥현의 조카인 전태연(全泰然)이 1970년 2권 1책으로 간행하였다. 서문은 전태현이 썼고, 발문은 홍순희(洪淳喜)가 썼다.

[형태/서지]

『일산당유고』는 2권 1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석판본이다. 크기는 26.5×18.0㎝이며, 반곽(半郭)은 20.2×14.3㎝이다. 사주쌍변(四周雙邊)[지면의 둘레를 두 개의 검은 선으로 두름]이며, 12행 24자로 판각되었다. 어미(魚尾)[책을 펼쳤을 때 중앙에 물고기 꼬리 문양의 접지표]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이다.

[구성/내용]

『일산당유고』는 2권 1책이며, 내용은 시(詩), 기(記), 부록(附錄)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권상(卷上)에는 시(詩), 권하(卷下)에는 기(記), 부록(附錄) 등이 수록되었다. 시(詩)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운장산에 은거하며 산수를 벗삼아 살아가는 모습을 노래한 내용이 많다.

[의의와 평가]

전옥현은 경술국치 후 세속과 인연을 끊고 산속에 은거한 한학자이다. 『일산당유고』는 국권을 강탈당한 뒤 속세를 버리고 산속에 은거한 지식인의 삶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