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300619 |
---|---|
한자 | 李準先生墓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능묘 |
지역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 산1-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도남 |
조성 시기/일시 | 1624년 - 이준선생묘 조성 |
---|---|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 1545년 - 이준 출생 |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 1624년 - 이준 사망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9년 12월 29일 - 이준선생묘 경기도 기념물 제120호로 지정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이준선생묘 경기도 기념물 재지정 |
현 소재지 | 이준선생묘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 산1-1[좌표: N37° 54′ 10.5083″, E126° 58′ 37.836″] |
성격 | 능묘|묘 |
양식 | 쌍분 |
관련 인물 | 이준(李準) |
소유자 | 이기주 |
관리자 | 이기주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기도 기념물 |
[정의]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학자 이준(李準)의 묘.
[개설]
이준[1545~1624]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평숙(平叔), 호는 나진자(懶眞子)·창파(㘟坡)이다. 정종의 아들인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6세손이다. 광해군 연간에 인목왕후(仁穆王后) 폐비 사건이 있자 관직을 버렸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후에는 인조의 부름을 받았으나 문을 걸어 잠그고 사람들과의 접촉을 피하였다고 한다.
[위치]
이준선생묘(李準先生墓)는 양주시 남면 신산리 지청마을 전주 이씨(全州李氏) 묘역 서편 능선에 위치한다.
[형태]
묘는 쌍분(雙墳)이고, 봉분(封墳)에는 원형(圓形)의 호석(護石)을 둘렀다. 묘표(墓表)·혼유석(魂遊石)·상석(床石)·향로석(香爐石)·동자석(童子石)·망주석(望柱石)·문인석(文人石) 등 옛 석물을 갖추었다. 좌향은 서남향이다. 묘표는 원수형(圓首形) 1면 비이다. 규모는 비석이 너비 58.5㎝, 두께 21㎝, 높이 169㎝이며, 비좌가 너비 100㎝, 두께 65㎝, 높이 34㎝이다. 문인석은 양관 조복을 착용하였고, 규모는 총 높이 185㎝이다. 동자석은 쌍계를 하였고, 규모는 총 높이 118㎝이다. 망주석은 총 높이 184㎝이다.
[금석문]
비석 앞면에 ‘증 영□□ 행평난공 신숭□□□□정부 좌참찬 전성군 이공준지묘 증 정경부인 □주 경씨 부(贈領□□行平難功臣崇□□□□政府左參贊全城君李公準之墓贈貞敬夫人□州慶氏祔)’라 새겼다. 비문은 마모되어 판독할 수 없다.
[현황]
1989년 12월 29일 경기도 기념물 제12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기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소유자 및 관리자는 이기주로 되어 있다. 묘소로 올라가는 입구에는 매년 제사를 올리는 사당이 있는데, 이 때문에 마을 이름이 지청말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한편 이준선생묘 위에는 이준의 아버지 이유정의 묘가, 아래에는 이정익(李廷益)의 묘가 있다.
[의의와 평가]
이준선생묘는 조선 후기 묘역의 조성 형태와 석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아울러 「전성부원군 이준 선생 영정(全城府院君李準先生影幀)」[경기도 문화재 자료 제81호]이 보관되어 있어 조선 후기 회화를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