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301599 |
---|---|
이칭/별칭 | 「코치레」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기도 양주시 |
집필자 | 이원영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0년 11월 17일 - 국가 무형 문화재 제70호로 지정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9년 - 『양주의 옛소리』에 수록 |
가창권역 | 양주시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 618-2 |
성격 | 민요|의식요 |
기능 구분 | 의식요 |
가창자/시연자 | 김인기|김환익 |
문화재 지정 번호 | 국가무형문화재 |
[정의]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의 코 모양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개설]
「코내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의 코 모양을 물어온 것에 대한 화답으로 영감[원마부]이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코치레」라고도 한다. 「눈내력」 다음에 영감이 「코내력」을 시작한다.
[채록/수집 상황]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32쪽에 실려 있다. 「코내력」은 당시 경기도 양주군 백석면 방성리 주민 김인기[양주소놀이굿 기능 보유자]와 광적면 효촌리 주민 김환익[남, 69]이 소장하고 있는 가사집을 토대로 작성한 것이다. 서로 일치하지 않는 부분은 김인기 소장본을 기준으로 하여 양주문화원 향토사료조사팀이 정리하였다.
[구성 및 형식]
소의 코 내력에 대한 부분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코 형상을 들고 있는데 넓적한 이미지를 전병에 빗대고, 등이 잘록하게 들어간 코를 안장에, 매부리코를 나막신에 빗대고 있다. 계속하여 ‘-코’가 반복되어 사용되는데, 각운을 통해 언어 유희적 운율감이 강조된다.
[내용]
주먹같은 양인의 코요/ 넓적하다 전병코/ 번쩍들어 들창코/ 훌쩍훌쩍은 어린애코/ 허리가 잘록 안장코요/ 평양 나막신 매부리코/ 늘어 움츠리기 코끼리코요/ 방장봉내 운무중에/ 내 잘맞는 토끼코인데/ 어떤 코를 찾으시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속담에 ‘살갑기는 평양 나막신’이라는 말이 있다. 이것은 먼저 옛날 신기에 편안하다고 유명했던 평양 나막신처럼 붙임성이 있고 사근사근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이와 달리 안쪽이 넓은 평양 나막신처럼 몸은 작은데 음식은 남보다 더 많이 먹는 사람을 비웃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수궁가」의 눈 대목인 토끼화상 그리는 대목 중에 ‘방장봉래 운무 중에 내 잘 맡든 코’라는 사설이 있다.
[현황]
양주소놀이굿은 현재 양주소놀이굿보존회를 통하여 전수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양주소놀이굿은 경기도 북부 지역의 독자적인 무당굿놀이로 재인식될 필요가 있으며, 의의 역시 이 점에서 찾아야 마땅하다. 「코내력」에서는 다양한 코의 특징적인 모양과 성질을 짧은 단어로 집약하여 제시하고 있는데, 과장하거나 익살스러운 표현에 의한 재미와 함께 ‘-코’의 반복적 사용으로 인한 운율감이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