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100793
한자 廣陵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능묘
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유리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권혜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3년 10월 - 광릉 신도비 건립
현 소재지 광릉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유리 120-4 지도보기
성격 무덤
관련 인물 최원도|이당|이집

[정의]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유리에 있는 광주 이씨의 시조 묘.

[개설]

광릉은 600여 년 전 고려 말 광주 이씨 이집(李集)영천 최씨 최원도(崔元道) 두 사람의 신의와 우정이 담겨 있는 장소이다. 전해지는 이야기는 고려 말 최원도신돈(辛旽)의 어지러운 세상을 등지고 고향 영천으로 내려와 살았다. 당시 우의가 돈독했던 친구 이집 또한 정사에서 떠나 둔촌동 집에 머무르면서 모의를 꾀하다 발각되어 몰래 늙은 부친 이당(李唐)을 모시고 친구 최원도 집을 찾아 몇 달 만에 도착하였다.

마침 최원도는 향리 사람들과 술을 마시며 음유에 젖어 있을 때 이 집의 사랑채에서 부친과 쉬고 있었는데 소식을 들은 최원도는 무척 성을 내며 찾아와 부자를 쫓아내고 그 집을 불태워 버렸다. 이집최원도의 뜻을 알아채고 마을 밖으로 몸을 숨겨 밤까지 기다렸다. 밤이 깊어지자, 최원도는 사람들의 눈을 피해 부자를 데리고 와 다락방에 숨겼다.

오랫동안 집안 사람들도 모르게 지내오다 어느 날 부엌일을 맡은 여종이 주인의 식사량이 증가한 데 이상히 여겨 문틈으로 엿보다 그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여종은 비밀을 누설하지 않기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후, 이집의 아버지가 다락방에서 돌아가셨는데 최원도는 자기 어머니의 묘 부근에서 정성껏 장사를 지내 주었다. 이것이 광주 이씨 시조 이당의 묘이다. 이런 연유로 오늘날까지 광주 이씨와 영천 최씨 두 가문의 후손들은 선대의 각별한 우의를 항상 생각하면서 같은 날 묘제를 지내며 상대방의 조상 묘에 참배하는 풍습이 전해져 오고 있다.

왕의 묘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광릉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무덤이 능처럼 생겼다는 데서 유래했다.

[위치]

대창면 소재지에서 909번 지방도[금창로]를 따라 어방리를 지나면 왼쪽에 도유리 마을이 나온다. 마을길인 광릉1길을 따라 들어서면 광릉추원재와 관리사무소가 있고, 그 북쪽 뒷산에 두 기의 묘가 있다. 광주 이씨 시조인 이당의 묘가 앞에 있고, 그 뒤쪽에 최원도의 어머니 묘가 있다.

[형태]

광릉의 규모는 지름 14m, 높이 3m 정도이며 평면 형태는 원형에 가깝다. 광릉의 묘 앞은 이단으로 단이 져 있으며, 제일 아랫단에 석등과 향등이 있다. 그 윗단에 문인석이 양 쪽에 1기씩 세워져 있다. 문인석의 크기는 높이 1.2m 정도이며 풍화작용으로 상태가 좋지 않다. 묘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오른쪽에 묘비와 신도비가 있다. 신도비는 1983년 10월에 세워진 것이다. 최원도의 어머니 묘 앞에는 무인석이 세워져 있는 점이 특이하다.

[의의와 평가]

광릉은 고려 말 어지러운 시기에 최원도와 그의 친구 이집에 대한 깊은 우의를 엿볼 수 있는 무덤이다. 그들의 신의와 우정은 오늘날 후손들에게도 그대로 이어져 서로 추모하는 풍습이 남아 있어 각박한 현대인에게 모범이 되는 이야기를 담고 있는 무덤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