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0120 |
---|---|
한자 | 龍仁縣邑誌 |
영어음역 | Yonginh-yeon Eupji |
영어의미역 | Town Chronicles of Yongin-hye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성환 |
성격 | 읍지 |
---|---|
저자 | 용인현 |
편자 | 용인현 |
간행자 | 용인현 |
저술연도/일시 | 18세기 중엽|1842년~1843년|1871년|1891년 |
편찬연도/일시 | 18세기 중엽|1842년~1843년|1871년|1891년 |
간행연도/일시 | 18세기 중엽|1842년~1843년|1871년|1891년 |
권수 | 4권 |
책수 | 4책 |
사용활자 | 필사본 |
가로 | 21.2㎝|27.9㎝ |
세로 | 30.1㎝|35㎝ |
표제 | 龍仁縣邑誌|同治十年辛未九月日 龍仁縣邑誌|光緖十七年辛卯六月日 龍仁縣邑誌成冊 |
간행처 | 용인현 |
소장처 | 서울대학교 규장각 |
소장처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 56-1[관악로 1] |
[정의]
조선 후기와 조선 말기에 걸쳐 네 차례 간행된 용인현의 읍지.
[개설]
조선 후기 이전에 용인 지역에서 편찬된 읍지를 참고하여 용인현의 역사와 일반 현황을 담은 자료로, 모두 네 번에 걸쳐 편찬·간행하였다. 조선 후기와 조선 말기 용인현의 현황과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편찬/발간경위]
조선 후기와 조선 말기에 전국적으로 진행된 읍지 편찬 작업의 일환으로 간행되었다. 『용인현읍지(龍仁縣邑誌)』는 18세기 중엽에 처음 편찬·간행되었고, 이후 1842년~1843년에 간행되어 『경기지(京畿誌)』권4에 수록되었다. 그후 1871년(고종 8)에는 『동치10년신미9월일 용인현읍지(同治十年辛未九月日 龍仁縣邑誌)』, 1891년에는 『광서17년신묘6월일 용인현읍지성책(光緖十七年辛卯六月日 龍仁縣邑誌成冊)』이란 제목으로 편찬·간행되었다. 일제강점기에 필사한 이본이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18세기 중엽에 간행된 『용인현읍지』의 표제는 용인현읍지(龍仁縣邑誌)이다. 1책 8장이며, 필사본이다. 1842년~1843년에 간행되어 『경기지』권4에 수록되어 있는 『용인현읍지』의 표제는 용인현읍지(龍仁縣邑誌)로, 1책 5장의 필사본이다. 크기는 가로 21.2㎝, 세로 30.1㎝이다.
『동치10년신미9월일 용인현읍지』의 표제는 동치10년신미9월일 용인현읍지(同治十年辛未九月日 龍仁縣邑誌)이다. 1책 12장이며, 필사본으로 채색지도가 첨부되어 있고, 크기는 가로 27.9㎝, 세로 35㎝이다.
『광서17년신묘6월일 용인현읍지성책』의 표제는 광서17년신묘6월일 용인현읍지성책(光緖十七年辛卯六月日 龍仁縣邑誌成冊)이다. 1책 8장, 필사본으로, 크기는 가로 27.9㎝, 세로 35㎝이다. 채색지도가 첨부되어 있다.
[구성/내용]
18세기 중엽에 간행된 『용인현읍지』는 방면(坊面)·건치연혁·현계(縣界)·호총(戶總)·결총(結總)·군총(軍摠)·공해·단묘(壇廟)·산천·영니험이진도주척(嶺泥險夷津渡舟隻)·제언·성지(城池)·명현묘소·서원·전진유지(戰陣遺址)·고적·누대정관(樓臺亭觀)·봉수·사찰·기우제단·장시점막(場市店幕)·토산·충효열인(忠孝烈人)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면에서는 읍내면·동변면·서변면·구흥면(駒興面)·수진면(水眞面)·지내면(枝內面)·포곡면·모현면·현내면(縣內面)·도촌면·서촌면·남촌면·상동촌면·하동촌면의 방향과 관문에서의 거리를 정리하고 있다.
호총에서는 민호(民戶) 4,291호, 남자 11,203명·여자 11,421명으로 총 22,624명이며, 결총은 4,719결 31부 9속 중 진잡경(陳雜頃) 2,926결 7부 4속, 실결(實結) 1,793결 24부 5속으로 기록하고 있다. 영이험리진도주척·성지·전진유지에 대한 내용은 없다. 장시(場市)에 덧붙여 점막(店幕)을 소재지와 함께 기록하고 있기도 하다.
1842년~1843년에 간행되어 『경기지』권4에 수록되어 있는 『용인현읍지』는 18세기 중엽에 간행된 『용인현읍지』의 항목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내용도 거의 같으나, 각 항목의 내용에서 자구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다만 방면의 항목명이 방곡(坊曲)으로 바뀌었을 뿐이며, 기곡면(器谷面)·수여면(水餘面)이 추가되어 있어 면리제의 변화상을 읽을 수 있다.
『동치10년신미9월일 용인현읍지』의 전체 항목은 건치연혁·현계·방리·관직·향소·관속·산천·형승·성지·진보(鎭堡)·목장·관애(關隘)·누정·물산·단묘·향교·공해·서원·창고·제언·역원·봉수·사찰·인물·총묘(塚墓)·군기(軍器)·호구·결총·군정·환총·사례대개(事例大槪)로 이루어져 있다.
앞의 자료와 비교하여 관직·향소·관속·향교 등의 항목이 추가로 편재되어 있고, 영이험리진도주척은 형승·성지·진보(鎭堡)·목장·관애(關隘) 등의 항목으로 세분되어 있다. 하지만 형승·성지·진보(鎭堡)·목장·관애(關隘)·누정·물산은 항목만 있을 뿐 내용은 없다.
호총은 원호(元戶) 4,300호에 남자 11,239, 여자 11,420명이며, 결총은 원장부전답 4,719결 31부 9속 중 각양잡경 2,641결 58부 6속, 실결 2,077결 3부 3속으로 이전보다 약간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광서17년신묘6월일 용인현읍지성책』은 순서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동치10년신미9월일 용인현읍지』의 자료와 거의 같다. 제언도 5개소를 수록하고 있으나 1871년의 자료에서와 같이 모두 퇴폐(頹廢)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군정은 창룡향보(蒼龍餉保)·포보(砲保)·군향보(軍餉保)·분양마보(分養馬保)의 소속 인원수를 적은 것으로 양인과 노비를 구분하였으며, 화영(華營)·친군영(親軍營)·사복(司僕) 등 상납처(上納處)를 병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