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민속공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2115
한자 民俗工藝
영어음역 Minsok Gongye
영어의미역 Folkcraft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용인시
집필자 김장환

[정의]

경기도 용인시에서 전통 기술로서 물건에 미적 가치를 부가하여 제작하는 전통 예술의 한 분야.

[개관]

우리나라의 전통 공예는 목재 공예·죽재 공예·금속 공예·도자 공예·직물 공예·한지 공예·옻칠 공예·천연 염색 공예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특히 전통적으로 도자 공예가 뛰어나 우리나라를 도자기의 나라라고 부를 만큼 빼어난 도자기 문화를 이룩하였는데, 용인 지역에도 일찍부터 도자기 문화가 발달하여 그 중요성이 널러 알려져 학계의 주목을 받아오고 있다.

[도자공예]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통해 거의 천여 년 간 지속적으로 용인 땅 곳곳에 활발한 도자기 생산 활동의 눈부신 족적을 남겨놓아, 지금도 우리나라의 어느 지역보다 왕성한 도자 문화의 유구한 전통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동읍 서리 중덕에 위치한 고려백자 가마터는 용인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으로 널리 알려져 있을 만큼 중요한 유적이다.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에 생산된 분청사기와 백자도 용인의 중요한 도자 공예이다.

[악기장]

전통 현악기를 만들어 오고 있는 악기장 최태진은 고모부 김광주로부터 악기 제작 기술을 전수 받았으며 1982년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에 터를 잡고 오르지 악기 만드는 일에 전념하고 있는 장인이다. 경기도무형문화재 제30-2호 악기장(樂器匠)으로 지정되어 있다.

[한지장]

한지장 류행영은 50여 년간 한지를 제작해온 장인으로 한지의 주요 원료인 닥나무와 황촉규를 직접 재배하고 있으며, 한지 제작 전 과정에 대해 다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한지를 제작하고 있다. 특히 그 동안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지의 품질 개량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닥나무를 삶을 때 알카리성이 높은 고추 줄기를 태운 재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개인적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이와 함께 종이 뜨는 기술[抄紙] 면에서는 전통 제작 방법인 외발뜨기 기술을 지키고 있으며, 특히 천연 염료를 이용한 다양한 색지와 얇은 종이, 초상화지라 일컫는 큰 종이를 제작하는 기술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 문화재위원회로부터 국가무형문화재 한지장(韓紙匠) 기능보유자로 지정받았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5.16 행정지명 현행화 이동면에서 이동읍으로 변경 사실 반영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