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143
한자 熊川‒文化公園
영어공식명칭 Ungcheon Stone Culture Park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구장터3길 102[대천리 81-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2014년 3월 29일연표보기 - 웅천 돌문화공원 및 석재전시관 개관
최초 설립지 웅천돌문화공원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구장터3길 102[대천리 81-6]
현 소재지 웅천돌문화공원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구장터3길 102[대천리 81-6]지도보기
성격 공원
면적 29,857㎡
전화 웅천돌문화공원[041-931-7688]
홈페이지 웅천돌문화공원(https://www.brcn.go.kr/stone.do)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대천리에 있는 공원.

[개설]

공원은 일반적으로 공중의 휴식·오락·보건 등을 위하여 조성한 넓은 정원이나 유원지 등의 사회적 시설을 의미한다. 웅천돌문화공원은 보령시에 있는 공원 중 하나로서 보령시의 특산물인 남포오석(藍浦烏石)을 이용한 공원이다.

[건립 경위]

웅천돌문화공원은 남포오석의 산출지이면서 동시에 남포오석을 재료로 한 석재산업의 중심지로서 웅천읍의 지역적 특성과 상징성을 드러내기 위하여 남포오석을 소재로 한 예술문화 전시 및 휴식 공간을 조성하면서 건립되었다.

[변천]

웅천돌문화공원은 2008년 ‘웅천 소도읍 육성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2012년 착공하였고, 2년여 공사 기간 후 2014년 3월 29일 개관하였다.

[구성]

웅천돌문화공원웅천읍 대천리 남서쪽에 있는 화락산(花落山)[206.9m] 중턱 일대에 29,857㎡ 규모로 건립되어 있다. 웅천돌문화공원에는 석재문화전시관, 보령벼루관, 오석작품관을 비롯하여 야외체험장, 팔각정자, 전망대, 석조각산책로 등이 있다.

[현황]

웅천돌문화공원의 여러 시설 중 석재문화전시관에서는 석재문화의 역사, 남포벼루 제작 과정 등을 볼 수 있다. 특히, 조선 중기 윤증(尹拯)[1629~1714]의 ‘조선남포오석일월산수문양면연(朝鮮藍浦烏石日月山水紋兩面硯)’을 재현한 벼루가 전시되어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벼루이다. 남포벼루는 우리나라 최고급 벼루의 대명사로 불리며,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추사 김정희의 벼루 3개 중 2개가 바로 남포벼루이다.

전시관의 2층에 자리한 갤러리 탑에서는 매월 다양한 석조각, 미술, 벼루 등의 전시회가 열린다. 석재문화전시관 외부에는 석조각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 야외공원에는 놀이터, 야외광장, 팔각정자쉼터 등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