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1084
한자 流頭
이칭/별칭 유둣날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집필자 서해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 장소 유두 - 전라북도 부안군 일대
성격 세시 풍속
의례 시기/일시 음력 6월 6일

[정의]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음력 6월 6일에 거행하는 풍속.

[개설]

유두(流頭) 는 ‘동류수두목욕(東流水頭沐浴)’의 약자로,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한다는 뜻이다. 이를 ‘유둣날’이라고도 한다. 이날 아침 각 가정에서는 유두면·밀전병·수단(水團)·건단(乾團), 그리고 피·조·벼·콩 등 여러 가지 곡식을 새로 나온 과일과 같이 사당에 차려 놓고 고사를 지낸다. 이를 유두천신(流頭薦新)이라 한다. 농가에서는 연중 농사가 잘 되게 해달라고 농신(農神)에게도 고사를 지낸다.

[절차]

부안 지역에서는 이날 차례를 모시지 않은 경우가 많지만, 가정에 따라서 안방에 성주상을 차리거나 안방과 뒤뜰에 있는 철륭 앞에 메와 국을 중심으로 간단히 제물을 차려서 상을 올리기도 한다. 그리고 각 가정에서는 밀을 갈아서 ‘밀개떡’을 만들어 먹거나 마을 단위로 ‘술멕이’를 벌이기도 한다. 또한 단오와 마찬가지로 유두에도 가까운 이웃 사람들이나 친구들끼리 바닷가나 냇가에 가서 모래찜질이나 물찜질을 하기도 한다.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용서리에서는 유두 무렵에는 밀농사가 끝나는 시기이므로 대부분의 가정에서 밀개떡을 많이 만들어 먹는다고 한다. 변산면 중계리 사자동에서는 집집마다 ‘보리개떡’을 만들어 잔치를 하거나 ‘밀수제비’를 만들어 먹고 논다. 밀수제비는 밀을 맷돌에 갈아 체로 쳐서 반죽을 한 다음 손으로 작게 뜯어 썰어 놓은 햇감자와 함께 끓는 물에 넣어 끓여내어 간을 맞추어 먹는다. 부안읍 내요리 돌모산에서는 유둣날에 술멕이를 하는데, 특히 이날은 ‘머슴날’이라 하여 일꾼들에게 술과 안주를 장만하여 대접하고 온종일 흥겹게 논다. 이를 ‘진세술’이라 부르기도 한다. 백산면 용계리 산내마을에서도 역시 술멕이를 하는데, 집집마다 술과 안주를 만들어 마을 정자에서 흥겹게 논다. 그러면 농사를 잘 지은 집에서 ‘장원주’를 내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