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0325
한자 江陵-民俗文化
영어의미역 Folk Culture of Gangneung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강원도 강릉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정룡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연도/일시 1991년 1월 20일연표보기 - 강릉:『강릉의 민속 문화』 간행
성격 연구서
편자 장정룡
권수 1권
가로 15.2㎝
세로 22㎝
간행처 대신출판사

[정의]

1991년 장정룡(張正龍)이 강릉의 민속 문화에 대하여 발표된 여러 글을 모아서 출간한 책.

[개설]

강릉단오제를 비롯하여 강릉의 민속 문화는 그 고유한 전통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측면에서 다양한 글을 모아 민속지로서의 체계적인 조망을 시도하였다.

[서지적 상황]

신국판 268면이다.

[구성]

머리말, 강릉민속의 배경, 강릉민속의 실제로 나누어 살폈으며, 강릉민속의 실제에는 세시풍속, 관혼상제, 민간신앙, 민속놀이, 민속극, 농악, 설화, 민요, 무가, 속담, 수수께끼, 금기어, 방언, 지명유래, 참고문헌, 부록으로 강릉의 동제, 대관령성황당, 강릉단오제 제전행사 절차 및 축문 등을 구성했다.

[내용]

강릉민속의 배경에서는 풍토적 조건, 역사적 조건, 사회적 조건을 살피는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글을 숭상한다는 문향과 놀이를 좋아한다는 예향의 전통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강릉민속의 실제에서는 민속학 연구의 범위에 해당되는 민속학 연구 전반에 대해 다각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민간신앙에서는 서낭제, 산신제, 기우제, 남근제, 마제, 짐대제를 다루었고, 민속놀이에서는 청춘경로회학산 신령산 괴비고사리꺾기, 민속극은 「강릉관노가면극」을 넣었다. 설화는 강릉신화, 전설은 수로전설, 민담을 실었고, 민요에서는 민요각론과 「오독떼기」의 고찰이 들어가 있다. 무가에서는 「부정굿노래」, 「축원굿노래」, 「조상굿노래」, 「당고마기노래」, 「성주굿노래」, 「군웅굿노래」, 「심청굿노래」, 「칠성굿노래」, 「지신굿노래」, 「손님굿노래」, 「제면굿노래」, 「꽃굿노래」, 「등굿노래」, 「대맞이굿」 그리고 「환우굿노래」를 수록하였다. 아울러 부록으로 일제 강점기 하에 실시된 강릉의 동제조사 자료와 단오제 행사와 관련된 축문 등을 수록하였다.

[의의와 평가]

그 동안 발표된 책자들이 강릉민속 전반을 다루지 못하였거나 다소 시기가 오래된 자료이므로 1990년대를 중심으로 연구 성과를 모아서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