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319
한자 忠孝洞忠孝-堂山祭
이칭/별칭 충효동 충효마을 동제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윤수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 장소 할아버지당산 -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충효마을 입구 모정 옆지도보기
성격 마을 공동 제사
의례 시기/일시 정월 열나흗날
신당/신체 할아버지당산[느티나무]|할머니당산[팽나무와 입석]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충효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정월 열나흗날에 모시는 마을 공동 제사.

[개설]

충효동 충효마을 당산제충효마을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 제사이다. 할머니당산과 할아버지당산 두 곳에서 제를 지내다가 현재는 당산할머니를 할아버지당산으로 모셔와 함께 제를 지내고 있다. 충효동 충효마을 당산제는 마을이 생긴 이래로 지금까지 중단된 적 없이 지속해 오고 있으나, 마을의 규모와 인구가 줄어들면서 당산제 또한 축소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원 및 변천]

무등산 자락에 자리 잡은 충효마을은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이며, 마을 서쪽으로는 광주호가 있다. 마을 주변에 성벽이 있어 과거에는 성내촌 또는 성촌으로 불렸는데, 김덕령(金德齡)[1568~1596] 장군이 태어나고 성장한 곳이라 하여 정조가 그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충효리'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신당/신체의 형태]

충효동 충효마을 당산제는 할아버지당산과 할머니당산에서 제를 모신다. 할아버지당산은 마을 입구 모정[정자, 마을 사람이 앉아서 쉴 수 있도록 지은 곳] 옆에 있는 수령 약 500여 년 정도의 느타나무였으나, 오래 전에 벼락을 맞아 새로 가지를 친 것이 현재의 할아버지당산이다. 할머니당산은 광주댐 상류 서쪽 논가에 무덤처럼 흙을 돋우어 세운 입석과 그 주위 팽나무 세 그루였는데, 팽나무가 고사한 후 1980년대에 당산할머니를 할아버지당산으로 모셔와 함께 제를 지내고 있다.

[절차]

충효동 충효마을 당산제는 제일(祭日)인 정월 열나흗날 3~4일 전에 제관(祭官)을 선정하는 마을회의를 연다. 제관으로 축관 1명, 집사 1명, 화주 1명을 선정하는데, 화주는 생기복덕(生氣福德)[생기법으로 본 길일과 사람이 태어난 생년월일의 간지를 팔괘로 나누어 가린, 길한 일진의 날]이 맞고 복이 많은 사람을 우선적으로 뽑았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부녀회에서 깨끗한 사람 중심으로 음식을 장만하고 있다. 과거에는 제관을 선정하면, 마을 입구와 당산, 화주를 비롯한 제관들 집에 금줄을 치고 금토를 놓았다. 요즘은 정월 열나흗날에 당산나무 주위와 마을 곳곳에 금토를 뿌리고 당산나무 주변에 금줄을 치는 것으로 대신한다. 제비(祭費)는 마을 당산제답과 광주광역시 북구청의 지원금으로 충당한다. 13일 무렵 화주가 대인시장이나 말바우시장에 가서 제물(祭物)을 구입해 온다. 돼지머리, 가조기, 무, 명태, 대추, 밤, 곶감, 사과, 배 등을 제물로 마련한다. 또한 공동답에서 나온 쌀로 당산제에 사용할 메를 짓고 떡을 빚는다. 제물 준비가 끝나면 마을회관 2층에 할아버지당산에 진설할 때와 같은 상차림으로 진설을 미리 해 둔다. 이때 각 제물에 종이로 만든 꽃도 같이 꽂아 둔다.

정월 열나흗날 밤이 되면 마을회관 앞에 농악대가 모여 농악을 친다. 자정 무렵이 되면 농악대는 할아버지당산, 마을샘 등을 거쳐 마을 한 바퀴를 돌아 다시 마을회관으로 내려온다. 이후 마을 사람들은 제물을 하나씩 머리에 이고 제관들과 농악대와 함께 할아버지당산으로 이동한다. 1990년대까지는 농악대가 할머니당산에 가서 굿을 쳐서 당산할머니를 할아버지당산으로 모셔왔으나 요즘은 그러한 절차를 밟지 않는다. 제차(祭次)는 유교식으로 '강신→초헌→독축→아헌→종헌→유식→음복' 순으로 진행된다. 이후 헌식과 소지가 진행된다. 과거에는 깨끗한 남자들만 제의에 참여하였으나 현재는 여자들도 함께 참여하고 있다.

[부대 행사]

당산제 다음날 마을 주민 모두 마을회관에 모여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사흘 후에는 마을 내 금줄을 제거한다. 2월 초하룻날에는 마을 회의를 열고, 삼오날에는 세 명의 제관이 할아버지당산에 가서 술을 올리며 간단히 인사를 드린다.

[현황]

충효동 충효마을 당산제충효마을이 생긴 이래로 한 차례도 거르지 않고 모셔왔으나, 현대 사회로 올수록 많은 주민들이 시내로 이주하고, 풍물을 칠 사람도 부족하고 주민들이 화주 맡기를 꺼려하는 등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점차 축소되고 구색만 갖추는 정도로 실행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