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여도』 「경산현·하양현·자인현 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0596
한자 廣輿圖慶山縣河陽縣慈仁縣地圖
영어공식명칭 『Gwangyeodo Map』「Gyeongsan-hyun·Hayang-hyun·Jain-hyun Map」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감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지도

[정의]

18세기 후반 제작된 『광여도』에 수록된 경산현·하양현·자인현의 지도.

[개설]

『광여도(廣輿圖)』는 18세기 후반에 제작된 지도로 1750년대 초반에 제작된 『해동지도(海東地圖)』와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어, 이를 저본(底本)으로 삼은 것으로 추정된다. 『광여도』는 총 7책이며 경산현·하양현·자인현의 지도는 제4책 경상좌도 편에 실려 있다.

[제작 발급 경위]

『광여도』의 정확한 제작 연대를 알 수 없으나 충청도의 ‘호서도(湖西圖)’에서 ‘노성(魯城)’이라는 군현명이 나타나는데, 원래는 ‘니산(尼山)’으로 칭했다. 그러다 1776년(정조 즉위)에 ‘니성(尼城)’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800년(순조 즉위)에 다시 ‘노성’으로 바뀌었다. 이를 근거로 1776년에서 1800년 사이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광여도』는 총 7책으로 이루어진 지도집으로 채색 필사본이며, 크기는 세로 36.8㎝, 가로 28.6㎝이다.

[구성/내용]

『광여도』 전체 구성은 『해동지도』와 비슷하다. 세계 지도와 외국 지도 그리고 요계관방도, 조선전도 뒤로 각 도별 지도 아래 군현 지도들이 수록되어 있다. 구성을 보면 1책은 경기도, 2책은 충청도, 3책은 전라도, 4책은 경상좌도, 5책은 경상우도, 6책은 평안도, 7책에는 황해도와 강원도, 함경도 지도와 군현 지도, 그리고 주요 군사적 요충지의 순으로 실려 있다.

조선시대 경산 지역은 경산현·하양현·자인현으로 구성되었기에, 『광여도』에서 이들 고을을 각각의 지도로 그렸다.

「경산현지도」를 보면 읍치와 압량역(押梁驛)은 분홍색 바탕에 적색 테두리를 한 장방형(長方形)의 범례로 표시하였다. 읍치를 중심으로 우측에는 향교, 남쪽에는 광흥사(廣興寺)와 안흥암(安興菴), 쌍계사(雙溪寺)를 그려 넣었다. 행정 구역인 면(面)은 황색 바탕에 적색 테두리를 한 직사각형 속에 표기해 읍치를 둘러싸고 해당 위치에 표기되어 있다. 성산봉(城山峰) 정상에는 봉수대가 적색 바탕에 검은 선으로 테두리를 친 작은 사각형 모양으로 그려져 있다. 산맥은 회색 바탕에 검은 선을 한 회화로 묘사하였다. 산줄기 북쪽은 하양과 대구를 경계로 삼고 있으나 산의 명칭은 생략되었다. 대신에 여불사(如佛寺)와 사현(蛇峴)이 표기되어 있다. 동쪽 경계는 현성산(賢聖山)이 있고 자인과 경계를 접하고 있다. 남쪽의 산줄기는 이어현(伊於峴)과 송정현(松亭峴)이 연결되어 밀양과 청도에 맞닿아 있다. 서쪽은 대덕산(大德山)과 대장현(大墻峴)이 대구와 접하고 있다. 하천(河川)은 흑색으로 채색되어 있으며, 용성면에서 흘러온 하천이 읍치를 통과하여 금호강으로 나가는 모양으로 나타냈다. 지도의 뒷면에는 경산현의 주기(注記)가 기입되어 있다. 내용은 호구(戶口)와 군량미(軍糧米), 감영미(監營米)와 통영미(統營米) 등의 순서로 되어있고 경산에서 각 군영에 소속된 군인 수를 기록했다. 또 경산현에서 경도(京都)까지 떨어진 거리와 경산현과 인접하고 있는 각 군현의 거리뿐 아니라 읍치와 각 면과의 거리 및 관청과 경산현 내에 있던 창고와 역의 거리를 표기했다.

「하양현지도」에서 읍치는 분홍색 바탕에 청색 테두리를 한 장방형의 범례 안에 표시되어 있고, 화양역(華陽驛)도 같은 모양으로 좌측에 위치해 있다. 읍치 부근으로 위쪽에는 향교와 금호서원(琴湖書院)환성사(環城寺)를 그려 넣었고 시산봉(匙山峰) 봉우리에는 봉수대가 적색 바탕에 검은 선으로 테두리를 친 작은 사각형 모양으로 그려져 있다. 또 시산봉 밑으로 청색 바탕을 한 금호천(琴湖川)이 경산현자인현의 경계를 가로지르고 있다. 행정 구역인 면(面)은 황색 바탕에 적색 테두리를 한 직사각형 속에 표기해 해당 위치에 표기되어 있다. 산맥은 ‘∧’형 모양을 연결시킨 그림으로 산줄기로 표현하였고 남쪽으로 경산현자인현과 인접한 두락산(豆落山) 등이 표현되었다. 하양현의 방위(方位)는 12지(支)로 표기하여 남쪽은 오(午), 북쪽은 자(子), 동쪽은 묘(卯), 서쪽은 유(酉)로 기록했으며 남쪽을 제외한 다른 방향에서 경계를 접한 군현은 표기하지 않았다. 지도의 뒷면에는 하양현의 주기가 기록되어 있는데, 하양현의 인구수와 원회미(元會米), 감영미 등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각 군영에 소속된 군인 수와 경도와의 떨어진 거리, 하양현과 인접하고 있는 각 군현의 거리, 그리고 읍치와 각 면과의 거리, 관청과 하영현 내에 있던 창고와 역의 거리를 기록했다.

「자인현지도」에서 읍치와 산역(山驛)은 분홍색 바탕에 적색 테두리를 한 장방형의 범례로 표시하였다. 읍치를 중심으로 상단에 향교를 그려 넣었고 대흥사(大興寺), 내원암(內院菴), 반룡사(盤龍寺), 신림사(新林寺), 충현사(忠賢祠), 관란서원(觀瀾書院), 남천상덕사(南川尙德祠) 등이 각각의 위치에 그림으로 배치되어 있다. 행정 구역인 면(面)은 황색 바탕에 적색 테두리를 한 직사각형 속에 기입되어 해당 위치에 표기되어 있다. 산맥은 회색바탕에 검은 선을 한 회화로 묘사하였다. 현의 북쪽은 하양과 영천을 경계로 삼고 있으며 남쪽과 동쪽은 용산(龍山)삼성산(三聖山)구룡산(九龍山)이 청도와 인접해 있다. 서쪽은 성현산(聖賢山)이 경산과 맞닿아 있다. 하천은 오목천(烏木川)이 읍을 관통하고 있는데 청색 바탕의 실선으로 그렸다. 지도의 뒷면은 자인현의 주기가 표기되어 있고 내용은 자인형의 호구수와 군향미, 상진미(常賑米), 각 영(營)의 미곡 수량이 기록되어 있다. 이어서 자인현을 기준으로 서울과, 각 영진(營鎭)까지의 거리가 수록되어 있으며 면과 서원 및 사찰의 거리까지 적어 놓았다.

[의의와 평가]

『광여도』 「경산현·하양현·자인현 지도」 는 군현 지도와 함께 해당 현의 호구·부세·군정 등의 당시 사회·경제적인 정보가 부기(付記)되어 있다. 비슷한 시기 다른 사료와 비교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19세기 전후 경산현·하양현·자인현 지역의 변화상을 살펴보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