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700965
한자 密陽 靈山精舍 古佛書
분야 종교/불교
유형 문헌/문서
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가례로 233[가례리 1285-1]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조명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367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묘법연화경』 간행
작성 시기/일시 1376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유석질의론』 간행
작성 시기/일시 1380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대장일람』 간행
작성 시기/일시 1424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십육관경』 간행
작성 시기/일시 1489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육경 합부』 간행
작성 시기/일시 1527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사기영선』 간행
작성 시기/일시 1574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묘법연화경화본』 간행
작성 시기/일시 1574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송운집』 간행
작성 시기/일시 1580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법화경』 간행
작성 시기/일시 1605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불설아미타경』 간행
작성 시기/일시 1609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고봉화상선요』 간행
작성 시기/일시 1648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호법론』 간행
작성 시기/일시 1651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금강경화본』 간행
작성 시기/일시 1656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불설광본대세경』 간행
작성 시기/일시 1660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묘법연화경홍전』 간행
작성 시기/일시 1667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법화경』 간행
작성 시기/일시 1676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무경집문고』 간행
작성 시기/일시 1677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묘법연화경』 간행
작성 시기/일시 1681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도서』 간행
작성 시기/일시 1681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절요별행록』 간행
작성 시기/일시 1687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선문염송설화』 간행
작성 시기/일시 1764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보각서』 간행
작성 시기/일시 1791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팔양신주경』 간행
작성 시기/일시 1798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범망경』 간행
작성 시기/일시 1856년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대보부모은중경』 간행
문화재 지정 일시 1998년 11월 13일연표보기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45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6월 29일 -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번호 삭제
소장처 영산정사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가례로 233[가례리 1285-1]지도보기
성격 고불서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45호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가례리 영산정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불전 중심의 조선시대 고전적.

[개설]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密陽 靈山精舍 古佛書)는 조선시대 불교계에서 중요하게 여긴 불전이 대부분인 33종 52권의 고전적이다. 강원 이력 과정의 교재, 선 문헌, 신앙과 의례, 승려 문집 등으로 나누어진다.

[구성/내용]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는 1527년(세종 2)에 간행된 『사기영선(史記英選)』 3권을 제외하면 모두 불전이다. 1380년(홍무 13)에 간행된 『대장일람(大藏一覽)』은 1157년에 송의 진실(陳實)이 편찬한 유서이며, 『대장경(大藏經)』의 중요 문장을 추출해서 8부문 60품으로 분류하여 구성한 것이다. 1609년(만력 37)본 『고봉화상선요(高峰和尙禪要)』, 1764년(건륭 30)본 『보각서(普覺書)』, 1681년(강희 20)본 『도서(都序)』·『절요별행록(節要別行錄)』 등은 조선시대 승려들의 교육 과정인 이력의 하나인 사집과(四集科)에 사용된 문헌이다. 1687년(강희 26)본 『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는 대교과 과목인 『선문염송집』의 해설서이다.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곧 『법화경(法華經)』은 1367년(홍무 1), 1580년(만력 8), 1667년(광희 7), 1677년(광희 17)에 간행된 판본이 소장되어 있다. 『법화경』은 관음 신앙을 비롯한 불교 신앙의 기본적인 전적이며, 천태종의 근본 경전이다. 1660년(순치 17)본 『묘법연화경홍전(妙法蓮華經弘傳)』, 1574년(만력 2)본 『묘법연화경화본(妙法蓮華經畵本)』 등이 함께 소장되어 있다.

1648년(순치 5)본 『호법론(護法論)』은 송의 장상영(張商英)이 유학자의 불교 비판론에 대응하기 위해 쓴 것이며, 『유석질의론(儒淅質疑論)』은 조선 전기인 1376년(홍무 9)에 편찬된 불교 옹호론을 담은 문헌이다. 1489년(홍치 2)본 『육경 합부(六經 合部)』는 『금강경(金剛經)』, 『화엄경(華嚴經) 보현행원품(普賢行願品)』, 『대불정수능엄신주(大佛頂首楞嚴神呪)』, 『아미타경(阿彌陀經)』,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 『관세음보살예문(觀世音菩薩禮文)』 등을 모아 간행한 것이다. 이 밖에 『대보부모은중경(大報父母恩重經)』[1856년 간], 『팔양신주경(八陽神呪經)』[1791년 간], 『천지팔양경 합본(天地八陽經 合本)』[한글 최고본],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1605년 간], 『십육관경(十六觀經)』[1424년 간], 『범망경(梵網經)』[1798년 간], 『불설광본대세경(佛說廣本大歲經)』[1656년 간], 『금강경화본(金剛經畵本)』[1651년 간], 『송운집(松雲集)』[1574년 간], 『무경집문고(無竟集文稿)』[1676년 간] 등이 소장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는 조선시대에 간행된 불교 교학, 의례, 신앙과 관련된 주요 불전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조선시대 불교사 및 서지학 연구에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