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701032
한자 密陽 慕先亭
영어공식명칭 Miryang Moseonjeong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 초동로 398-13[신호리 220]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류화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508년연표보기 - 밀양 모선정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1592년연표보기 - 밀양 모선정 임진왜란으로 소실
개축|증축 시기/일시 1764년연표보기 - 밀양 모선정 증축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2년 - 밀양 모선정 구필문 신축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0년대 말 - 밀양 모선정 숭절재 신축
개축|증축 시기/일시 2004년 - 밀양 모선정 중건
문화재 지정 일시 2000년 1월 25일연표보기 - 밀양 모선정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85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1707년 - 여이명 「모선정기」 저술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6월 29일 - 밀양 모선정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밀양 모선정 - 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 초동로 398-13[신호리 220]지도보기
원소재지 밀양 모선정 - 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 초동로 398-13[신호리 220]
성격 재사
양식 팔작지붕
정면 칸수 6칸
측면 칸수 2칸
관리자 밀양박씨 송은공파 종중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85호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 신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개설]

밀양 모선정(密陽慕先亭)은 박수견(朴守堅)이 부모 장례를 치르면서 시묘살이 3년을 마치고도 계속 묘소에서 곡을 하다가 세상을 떠나자, 마을 사람들이 효성에 감동하여 여묘(廬墓)하던 움막을 박수견을 기리는 재사(齋舍)로 만든 것이다. 박수견은 송은(松隱) 박익(朴翊)[1332~1398]의 현손이며, 인당(忍堂) 박소(朴昭)[1347~1426]의 증손이다. 박익은 고려가 망할 때 지조를 지킨 인물이었고, 박소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 신호리에 세거지를 형성한 인당공파의 파조(派祖)이다. 1707년에 성산(星山) 여이명(呂以鳴)이 지은 「모선정기(慕先亭記)」를 통하여 박수견의 효행과 모선정의 건립에 대한 대략적인 내용을 알 수 있다. 모선정의 후원에는 박익(朴翊)박익의 아들 박소(朴昭)를 모신 덕남서원(德南書院)이 있는데, 이후에 박수견도 제향하였다.

[위치]

밀양 모선정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 신호리 대구말(大龜末)에 있다.

[변천]

밀양 모선정은 1508년 박수견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창건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으로 불타 없어져서, 150여 년 동안 황폐한 유지(遺址)만 남아 있었는데, 1764년에 8세손 박증엽이 증축하였다. 1972년에 구필문이 신축되고, 1980년대 말에 숭절재가 신축되면서 서원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그 후 수 차례 중수하며 보존하다가 2000년 1월 25일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285호로 지정되면서 2004년 크게 중수(重修)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형태]

밀양 모선정은 정면 6칸, 측면 2칸 규모로 지어진 팔작지붕 건물이다. 정당인 모선정과 후면에 덕남사가 있고, 우측면에는 숭절재가 있다. 정면에는 솟을 삼문인 구필문이 있다.

[현황]

밀양 모선정은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면서 웅장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입구에 한글과 영문으로 된 안내 현판이 세워져 있고, 모선정·덕남사·숭절재 등이 잘 관리되고 있으며, 주변 조경 또한 아름답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