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지도』「고산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0250
한자 湖南地圖高山縣
영어공식명칭 『Honamjido』「Gosan-h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문서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한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호남지도』 보물 제1588호로 지정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호남지도(湖南地圖)』에 수록되어 있는 고산현(高山縣) 지도

[개설]

『호남지도』는 전라도 군현을 그린 채색 필사본 지도집으로 보물 제1588호이다. 일명 비변사인방안(備邊司印方眼)지도라고 한다. 제1~6첩에는 전라도 53개 고을의 지도[제주, 대정, 정의 제외]가, 제7첩에는 전라도전도와 전라좌도지도, 전라우도지도 등 3매가 수록되어 있다. 제1~6첩의 53개 고을 지도는 1리 눈금선을 그어 지도를 제작하여 거리와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고산현」은 제2첩에 수록되어 있다.

[제작 발급 경위]

『호남지도』는 영조 연간[1724-1776]에 전라도에서 독자적으로 제작하여 진상한 지도로 알려져 있다. 또한 비변사 도장[備邊司印]이 제1책의 나주, 제3책의 무주, 제6책의 광주, 제7책의 호남전도 뒷면에 날인되어 있어 비변사에서 사용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형태]

『호남지도』는 전라도 각 군을 그려 전체를 7첩으로 묶고 비변사인을 찍은 채색 지도 필사본이다. 0.3~1.5㎝의 방안에 그렸으나 방안의 크기가 지도별로 일정하지는 않다. 그 중 「고산현」전주, 금산, 진산, 여산, 익산, 용안, 함열, 임피, 옥구, 만경 등과 함께 제2첩에 속해 있다. 지도 1장의 크기는 22.6×36.7㎝이다.

[구성/내용]

고산현은 현재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동상면, 경천면, 운주면, 화산면, 비봉면 일대에 해당하며 읍치는 고산면 읍내리에 위치하고 있었다. 대둔산 줄기로 이어진 산간지대이며, 물줄기는 만경강 수계로 이어진다. 지도상의 읍치의 주요 건물로는 객사(客舍), 주홀헌(拄笏軒), 쌍청헌(雙淸軒), 아사(衙舍), 옥(獄), 창사(倉舍), 향교(鄕校) 등이 보인다. 행정구역으로는 남면(南面), 서면(西面), 소량면(所良面), 동면(東面), 북면(北面), 운동면(雲東面), 운북면(雲北面), 운서면(雲西面), 현내면(縣內面) 등 9개 읍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을 둘러싸고 있는 산들의 명칭은 남산(南山), 대둔산(大芚山), 무등산(無等山), 문수산(文殊山), 봉비산(鳳飛山), 봉실산(鳳實山), 불명산(佛明山), 연석산(鍊石山), 안수산(安峀山), 운암산(雲暗山), 운제산(雲梯山), 주추산(珠崷山), 천등산(天登山)과 왕사봉(王師峯)이 있으며, 이웃 읍면을 연결하는 고개로는 만목치(萬木峙), 벌치(伐峙), 소야치(所也峙), 송치(松峙), 오도치(悟道峙), 용계치(龍溪峙), 유령(杻嶺), 율치(栗峙), 탄치(炭峙)가 있다. 하천으로는 현의 읍치 남쪽으로 흐르는 남천(南川)과 북쪽 충청도 쪽으로 흐르는 용계천(龍溪川)이 있다. 읍치의 북쪽 봉비산 서쪽에는 여단(厲壇)이 있고, 남쪽에는 사단(社壇)이 설치되어 있다. 읍치에서 북서쪽으로 가다 보면 옥포역(玉包驛)이 위치해 있고, 길을 따라 더 북쪽으로 가면 신거리주막(新巨里酒幕)이 나온다. 다시 길을 따라 북쪽으로 오르면 용계원(龍溪院)이 나오고, 또 다시 북쪽으로 오르면 옥계동(玉溪洞)과 대둔산(大芚山) 안심사(安心寺)에 도달할 수 있다. 그 외에 사찰로는 운문사(雲門寺)화암사(花巖寺)가 보인다. 읍치의 남동쪽 산위에는 위봉산성(威鳳山城)이 있고, 산을 넘으면 전주와 진안으로 길이 연결된다. 이처럼 『호남지도』「고산현」 지도는 고산의 읍치는 물론 지리 정보와 지형 지물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담고 있으며, 상단의 부기를 통해 민호(民戶)를 통한 인구수, 전답 결수, 군정 관련 군인들의 숫자와 군사 시설 등에 대한 정보도 상세히 담고 있어 조선 후기 고산현의 모습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의의와 평가]

『호남지도』 「고산현」 은 영조 때의 정확한 지리 정보가 수록된 고지도로 당시 지리적 공간적 정보는 물론 주기(註記)의 내용을 통해 인문적 정보를 알려주는 자료이다. 더욱이 24방위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 방안을 통해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 읍치의 정보가 다른 지도들보다 풍부하다는 점, 색깔을 통해 정보를 구분하고 있다는 점 등을 통해 고산현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귀한 지도이다.

[참고문헌]
  • 『호남지도(湖南地圖)』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완주군청(http://www.wanju.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