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봉리 홍우전 신도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0480
한자 西峰里洪禹傳神道碑
영어공식명칭 Memorial Stone for Hong U-jeon in Seobong-ri
분야 문화유산/유형 유산,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비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서봉리 617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유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663년 - 홍우전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728년 - 홍우전 사망
건립 시기/일시 1766년연표보기 - 서봉리 홍우전 신도비 건립
현 소재지 홍우전 신도비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서봉리 617 지도보기
원소재지 홍우전 신도비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서봉리 소농마을 지도보기
성격
관련 인물 홍우전
재질 오석[비신]|화강암[이수·좌대]
크기(높이,너비,두께) 210㎝[높이]|70㎝[너비]|68㎝[두께]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서봉리에 있는 조선 후기 홍우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개설]

서봉리 홍우전 신도비는 조선 후기 공조·예조·병조·형조 참판과 춘추관사를 지낸 문인 홍우전[1663~1728]의 신도비로서 1766년(영조 42)에 세워졌다. 비문은 무려 3,700자에 이르는 장문으로 글씨는 당나라 후기 서예가인 안진경의 다보탑비 서체로서 안심사 사적비와 함께 홍계희의 역작으로 손꼽힌다. 홍우전은 고려 태사 은열을 시조로 하고 대대로 벼슬길에 올랐던 가문에서 태어나 40세에 진사에 올라 경기전참봉을 시작으로 공조정랑, 진안현감, 한성부판관, 함양군수 등을 역임했다. 이후 장례원 판결사, 병조참의를 거쳐 충청감사에 임명되었으나 부모의 연로함을 이유로 사직했다가 다시 대사간 경상감사에 올랐다. 하지만 관직을 삭탈당하여 전주 구미리[현 완주군 봉동읍 구미리]에 내려와 기거하다가 태인으로 옮겨 살았다. 1725년(영조 1)에 사면되어 공조참판이 되었고 경종실록을 편찬하기도 했다. 홍우전은 성품이 극단적이어서 정적이 많았으며 비문에 나와 있듯이 관직명도 61종에 이른다. 정조가 즉위하자 홍우전의 가문은 역적으로 몰려 죽임을 당했으며 무덤 속에서 관직을 삭탈당하는 수모를 겪어야 했다.

[건립 경위]

홍우전은 1663년(현종 4)에 태어나 1728년(영조 4) 타계했다. 서봉리 홍우전 신도비홍우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가 타계한 지 38년이 지난 1766년에 세워졌는데 당대의 학자이며 의정부 우참찬인 김간이 비문을 짓고 글씨는 홍우전의 아들 홍계희가 썼으며, 홍찬해의 두전(頭篆)[비석 몸체의 머리 부분에 돌려 가며 쓴 전자(篆字)]으로 건립되었다.

[위치]

전주-대전 간 17번 도로 고산사거리에서 좌회전해 화산 방면으로 가다 보면 좌측으로 소농마을이 있다. 소농마을로 진입하다 보면 소농교회가 보이는 갈림길에서 좌회전해 비포장길을 따라 들어가면 우측에 서봉리 홍우전 신도비가 있다.

[형태]

서봉리 홍우전 신도비는 개석[뚜껑돌], 비신[비석의 중심을 이루는 비문을 새긴 돌], 좌대로 이루어져 있다. 개석은 복발형의 꼭지가 있는 팔작지붕[사다리꼴의 맞배지붕에 측면에 지붕을 달아낸 형태]의 형태로서 화강암으로 제작되었다. 방형대석 위에 세워진 비신은 높이가 210㎝에 이르고 폭이 70㎝이며 두께가 68㎝의 크기인데 4면이 거의 같은 크기로 되어 있다.

[금석문]

비문에는 “참판증영의정홍공신도비(參判贈領議政洪公神道碑) 유명조선국가의대부예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춘추관사 중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세손사 홍공신도비명(有名朝鮮國嘉義大夫禮曹參判 兼 知義禁府春秋館事 贈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 謙 領經筵弘文館禮文館春秋館觀象監事 世孫師 洪公神道碑銘) 병서(幷書) 자헌대부의정부우참찬 겸 세자시강원찬선(資憲大夫議政府右參贊 兼 世子侍講院贊善) 김간 찬(金幹 撰) 공은 휘(諱)가 우전(禹傳)이고 자(字)가 집중(執中)이며 남양인(南陽人)이다. ... 숭정기원후 세 번째 병술년 5월 일에 세우다. 이해 3월에 증손 상간이 문과에 급제하였고 4월에 손자 찬해가 문과에 장원급제하였다. 비석을 세우기 전이므로 추록하였다”라고 새겨져 있다.

[현황]

서봉리 홍우전 신도비 주변으로는 석재 구조물로 경계를 이루며 개석은 이끼류의 부착으로 인한 풍화와 마모가 심하게 진행된 상태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