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민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451
한자 扶民團
영어음역 Bumindan
영어의미역 Bumindan Self-governing Body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강윤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치기구|독립운동단체
설립연도/일시 1912년연표보기
해체연도/일시 1919년연표보기
설립자 허혁|이상룡

[정의]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안동 지역 출신의 인사들이 중국 길림성 통화현에서 설립한 한인 자치 기관.

[설립목적]

재만 한인사회의 자치를 담당하고 이를 토대로 독립운동기지를 건설하여 독립전쟁을 위한 준비를 목표로 부민단이 설립되었다.

[변천]

1912년 경학사가 해체되고 나서 한인사회의 자치와 산업의 향상을 지도할 새로운 조직이 필요하게 되어, 1912년 가을 통화현(通化縣) 합니하(哈泥河)에 부민단이 조직되었다. 부민단은 허혁에 이어 이상룡이 단장을 맡았으며 의사부장에 김동삼, 협찬(協贊)에 김형식 등 안동 출신 인사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1919년 4월 초순 군정부가 성립된 것을 계기로 부민단의 모체 위에 한족회(韓族會)가 조직되자 발전적으로 해체하였다.

[활동사항]

부민단은 재만 한인의 자치를 담당하고 재만 한인사회에서 발생하는 일체의 분쟁을 해결하는 일, 재만 동포들을 대신하여 중국인 또는 중국관청과의 분쟁사건을 맡아서 처리하는 일, 재만 한인학교의 설립과 운영을 맡아 민족교육을 시행하는 일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독립군 양성에도 힘을 기울여 신흥강습소(新興講習所)를 운영하고, 신흥강습소의 졸업생을 주축으로 한 신흥학우단(新興學友團)을 조직하여 독립전쟁을 준비하였다. 1914년 이후에는 독립운동기지인 백서농장(白西農庄)을 건설하여 항일투쟁에 전력을 기울였다.

[의의와 평가]

부민단경학사의 근본정신을 이어받아 3·1운동이 전개될 때까지 재만 한인사회의 자치 기구이자 독립운동단체로서 그 사명을 다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