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946
한자 全州柳氏務實宗宅
영어음역 Jeonjuyussi Musil Jongtaek
영어의미역 Head Residence of the Jeonju Yu Clan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 470-43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진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21일연표보기 - 전주유씨무실종택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전주유씨무실종택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재지정
성격 고가
양식 홑처마 팔작지붕
건립시기/일시 17세기 후반 또는 18세기 전반
정면칸수 7칸
측면칸수 6칸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 470-43 지도보기
소유자 류승우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개설]

전주유씨무실종택전주류씨 무실파의 대종택이다. 무실의 입향조는 전주류씨 시조 완산백(完山伯) 류습(柳濕)의 6세손 류성(柳城)이다. 류성은 의성김씨 김진의 사위가 되어 영주에서 안동으로 이거해 왔다. 이후 무실전주류씨 문중은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학문을 이어받아 학문적 기틀을 마련하였고,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7세손 기봉(岐峯) 류복기(柳復起)와 문규(門規)를 제정한 8세손 도헌(陶軒) 류우잠(柳友潛, 1575~1635)이 그 기반을 확립하였다. 그 후 월회당(月會堂) 류원현(柳元鉉)이 문중의 화목과 학문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위치]

경상북도 안동에서 청송 방면으로 국도 34호선을 따라 20㎞ 정도 가면 안동시 임동면 중평리가 나오고, 이곳에서 오른쪽을 보면 긴 다리가 놓여 있는데 이것이 수곡교이다. 수곡교를 건너면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인데 월회당수곡리 마을 안에 있다.

[변천]

전주유씨무실종택의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7세기 후반 또는 18세기 전반에 건립되었을 것이라 추정된다. 1988년 임하댐 건설로 원래 있던 곳인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 691번지에서 현 위치로 옮겨 왔다. 1991년 봄 사랑채에 화재가 발생하여 다시 보수하였다.

[형태]

본채는 정면 7칸, 측면 6칸의 민도리 홑처마 팔작지붕집이다. 부속 건물로 솟을대문, 행랑채와 사당이 있다. 정침은 ‘ㅁ’자형이지만 전면 좌측의 사랑채가 돌출한 형이다. 중문간(中門間)의 우측에 갓사랑방 1.5칸이 놓여 있고, 이 갓사랑방에서 우측으로 돌출한 부분의 전면에는 사랑 마당 쪽으로 개방된 3칸에 길쭉한 사랑 대청을 설치하였으며, 전면에는 두리기둥을 세웠다. 대청 뒷부분에 2칸을 면하여 2통칸의 큰사랑방을 배치하였는데, 두 짝 여닫이문과 삼분합 들문을 각 칸에 달아 대청으로부터 출입하도록 하였다. 갓사랑은 아들이 거처하고 큰사랑은 아버지가 기거하는 공간으로 삼았다.

안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크기로 정면 3칸은 대청으로 사용하고 있다. 대청 바닥은 우물마루이며, 천장은 연등천장이다. 대청의 왼쪽 어간 앞에는 안방으로 들어가기 쉽게 댓돌을 놓았다. 대청의 왼쪽에는 안방이 있는데 크기는 2칸이며 2개의 출입문이 있다. 안방 뒤쪽에 조그만 광창도 나 있다. 안방 아래에는 2칸 크기의 부엌이 있으나 현재는 사용하지 않고, 부엌 아래의 방 2개를 터서 부엌으로 사용하고 있다.

안채와 사랑채 외의 부속 건물로 행랑채는 솟을대문과 연결되어 있는데 정면 6칸, 측면 1칸의 크기이다. 사당은 월회당의 오른쪽에 있는데, 대문에서 마당을 가로질러 맞은편에 있는 작은 문으로 출입한다. 사당의 크기는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맞배지붕집이다.

[현황]

1984년 5월 21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2009년 현재 소유자 및 관리자는 류승우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