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741
한자 大邱 佳川洞 古墳群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고분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 가천동 118|가천동 119|가천동 129|가천동 130|가천동 산4-5|가천동 산18|가천동 산146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민선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 시기/일시 삼국시대 - 대구 가천동 고분군 조성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8년 11월 16일~1999년 7월 31일 - 대구 가천동 고분군 대구선 철도 이설 구간[동대구~청천] 대구 가천동 고분군②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9년 7월 29일~9월 12일 - 대구 가천동 고분군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9년 11월 15일~12월 1일 - 대구 가천동 고분군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2년 3월 30일~10월 8일 - 대구 가천동 고분군 대구~부산 간 고속도로 대구 구간[제1공구]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9년 5월 25일~9월 3일 - 대구 가천동 고분군 경부고속철도 대구 도심 통과 구간 Ⅴ구역 성림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
소재지 대구 가천동 고분군 - 대구광역시 수성구 가천동 118|119|129|130|산4-5|산18|산146지도보기
성격 고분군
양식 널무덤[목관묘]|덧널무덤[목곽묘]|돌덧널무덤[석곽묘]|돌방무덤[석실묘]

[정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가천동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

[위치]

대구 가천동 고분군(大邱佳川洞古墳群)고모령을 넘어 대구광역시로 들어서면 나오는 수성구 가천동 마을의 북쪽 능선 일대의 해발 76m 정도의 낮은 구릉에 넓게 분포한다. 대구 가천동 고분군고산~무열로 간 국도와 중앙고속도로 사이에 있으며, 고분군의 북쪽에는 금호강이 인접하여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대구선 철도 이설 구간[동대구~청천]에 해당하는 구역인 대구 가천동 고분군②[수성구 가천동 18, 118, 119, 129, 130번지 일대]를 1998년 11월 16일부터 1999년 7월 31일까지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조사를 하였다. 삼국시대 돌덧널무덤[석곽묘] 204기, 돌방무덤[석실묘] 7기와 통일신라 이후의 수혈, 주혈, 노지시설 등이 조사되었다. 이후 철도 이설 공사의 추가 설계 변경에 의하여 1998~1999년에 발굴 조사된 대구 가천동 고분군 인접 구역[가천동 산146번지 일대]에 대한 조사를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 실시하였다. 1999년 7월 29일부터 1999년 9월 12일까지, 1999년 11월 15일부터 1999년 12월 1일까지 2차례에 걸친 조사에서 삼국시대 돌덧널무덤 40기가 확인되었다.

대구~부산 간 고속도로 대구 구간[제1공구] 중 대구 가천동 유적[가천동 18번지 일대]은 2002년 3월 30일부터 2002년 10월 8일까지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를 하였다. 청동기시대 주거지 2동, 원삼국시대 널무덤[목관묘] 4기, 삼국시대 덧널무덤[목곽묘] 24기, 돌덧널무덤 35기, 고려시대 건물지, 조선시대 및 시대불명의 분묘, 기타 생활유구 등이 조사되었다. 2009년 5월 25일부터 9년 9월 3일까지 성림문화재연구원에서 경부고속철도 대구 도심 통과 구간 Ⅴ구역에 해당하는 대구 가천동 신라묘군[가천동 산4-5번지 일원, 대구 가천동 고분군①에 포함]에 대한 발굴조사를 하였다. 원삼국시대 널무덤 1기, 삼국시대 돌덧널무덤 54기, 돌방무덤 3기, 삼국~통일신라시대 수혈 4기, 구상유구 1기가 확인되었고, 고려~조선시대 건물지, 수혈, 구상유구, 소토유구, 주혈군, 그 외 시대미상의 토광묘가 확인되었다.

[형태]

대구 가천동 고분군에서는 원삼국시대 널무덤을 비롯한 삼국시대 덧널무덤, 돌덧널무덤, 돌방무덤이 확인되었다. 널무덤의 잔존 깊이가 낮은 편이며, 유물은 충전토, 목관 내부, 목관 외부, 요갱 등에 부장되었다. 나무덧널무덤[목곽묘]은 대부분 소형의 단곽식이며, 유물은 양 단벽에 부장되었다. 돌덧널무덤은 대부분 구덩식돌덧널무덤[수혈식석곽묘]이며, 단곽식과 주부곽식이 확인된다. 주·부곽식 돌덧널무덤은 별도의 묘광을 굴착하여 부장곽을 설치한 것, 하나의 묘광에 주곽과 부곽을 설치한 것, 하나의 묘광에 판석을 이용하여 격벽을 설치하여 주곽과 부곽을 구분한 것이 확인된다. 이 중 격벽(隔璧)을 설치한 주곽식과 부곽식 석곽묘가 가장 많이 확인되는데 가천동 석곽묘의 특징적인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출토 유물]

대구 가천동 고분군에서는 쇠뿔손잡이항아리[우각형파수부호], 노형토기(爐形土器), 둥근바닥짧은목항아리[원저단경호], 굽다리접시, 목긴항아리, 입큰귀때단지[광구소호], 손잡이잔[파배] 및 따비, 방형철기, 철검, 미늘쇠[유자이기], 쇠화살촉, 굽은옥 등이 출토되었다. 또한 대구 가천동 고분군에서는 인골이 양호한 상태로 다량 확인되어 당시의 체질이나 형질을 연구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출토된 유물로 보아 대구 가천동 고분군의 조성 시기는 1세기 후반~6세기 중엽이며, 이후로 오랜 기간 고분군으로 이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황]

대구 가천동 고분군경부선 철도 건설공사와 대구~부산 간 고속도로 건설 이전에도 과수원 등의 경작지로 이용되면서 상당 부분 훼손된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는 경작지와 산지로 이용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대구 가천동 고분군은 대구 동부와 경산의 경계 지점에 있으며, 발굴 조사를 통하여 청동기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종다양한 성격의 유적이 확인되었다. 대구와 경산 지역의 고대사 복원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