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065
한자 漆谷 淨兜寺址 五層石塔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황금동 70]
시대 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박병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019~1031년 -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 건립
이전 시기/일시 1924년 -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 경복궁으로 이건
문화재 지정 일시 1963년 1월 21일연표보기 -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 보물 제357호로 지정
이전 시기/일시 1994년 -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 서울 종로구 사직로 161[세종로 1-91] 경복궁에서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황금동 70] 국립대구박물관으로 이건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6월 29일 -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국립대구박물관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황금동 70]지도보기
원소재지 칠곡 정도사지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복성리
성격 석탑
양식 오층탑
재질 석재
크기(높이) 4.63m[높이]
소유자 국유
관리자 국립대구박물관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국립대구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개설]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漆谷淨兜寺址五層石塔)은 원래 경상북도 칠곡군 정도사터에 있었던 5층 석탑인데, 1924년 경복궁으로 이건하였다가 1994년 국립대구박물관으로 다시 옮겨 세웠다. 탑 안에서는 ‘정도사오층석탑조성형지기(淨兜寺五層石塔造成形止記)’와 사리 장치가 발견되었다. 정도사오층석탑조성형지기에는 탑의 이름과 약목군(若木郡)[현재의 칠곡군 약목면]의 향리와 백성들이 발원하여 건립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357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건립 경위]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은 상주계(尙州界) 경산부(京山府)에 속하였던 약목군의 향리와 백성들의 발원에 의하여 1019년(현종 10)부터 1031년(현종 22) 동안에 건립되었다. 석탑기에 건립 주체로 기록되어 있는 승려 지한은 향리들에게 석탑의 건립을 의뢰받았던 군선원(郡禪院)의 승려로 기록되어 있다.

[위치]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70번지 국립대구박물관 출입문 왼쪽 정원 잔디밭에 있다.

[형태]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은 높이 4.63m이다. 2단 기단(基壇)의 아래층 기단에는 각 면에 안상(眼象)을 3구씩 조각하였는데 무늬의 바닥선이 꽃모양처럼 솟아오르고 있다. 위층 기단에는 각 면 중앙에 기둥 모양을 새겼고 각 기단의 맨윗돌은 약간의 경사를 이루고 있다. 윗돌 윗면에 1단의 괴임을 둔 것은 특별한 예에 속한다. 탑신(塔身)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돌로 되어 있다. 1층 몸돌의 정면에는 자물쇠가 달린 문짝 모양이 새겨져 있고, 2층 이상은 크기가 급격히 줄어든다. 지붕돌은 너비가 좁고 두꺼우며 네 귀퉁이가 위로 들려 있어 고려시대 석탑 특징을 보이고 있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은 4단으로 줄었고 추녀 밑으로 낙수 홈이 새겨져 있다. 5층 지붕돌은 없어지고 몸돌 위에 머리장식받침인 노반(露盤)만 남아 있다.

[금석문]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의 상층 기단 면석에 자경(字徑) 4㎝인 해서체(楷書體)의 탑명(塔銘)이 새겨져 있는데, 끝에 태평 11년(太平十一年)의 연호 및 연대가 새겨져 있다. 또한, 탑을 옮길 당시에 탑 안에서 ‘太平十一年歲次辛未正月四日高麗國尙州界知京山府事任若木郡內巽方在淨兜寺五層石塔造成形止記(태평11년세차신미정월4일고려국상주계지경산부사임약목군내손방재정도사오층석탑조성형지기)'라고’쓴 백지묵서(白紙墨書)가 발견되었다.

[현황]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은 기단 하대석 모서리가 일부 파손되어 있으며 상대석은 일부 갈색으로 변색되었다. 탑신부 옥개석도 일부분이 검게 변색되는 듯하다.

[의의와 평가]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은 탑 이름과 ‘태평십일년[1031년(고려 현종 22)]’의 연호 및 연대를 확인할 수 있는 탑이다. 특히 함께 발견된 백지묵서인 ‘정도사오층석탑조성형지기’에는 탑의 인연·시납, 공사의 사실 등을 기재하였고, 이두식 문장이 많이 사용되고 있어 탑 자체의 연구와 아울러 이두 연구에도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 국가문화유산포탈(http://www.heritage.go.kr)
  • 국립대구박물관(http://daegu.museum.go.kr)
  •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http://portal.nrich.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