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151 |
---|---|
한자 | 旭水農樂 |
영어공식명칭 | Uksunongak|Farmers' Performance in Uksu-dong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놀이/놀이 |
지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3173[매호동 1344-17]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신현정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8년 5월 30일 - 욱수농악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6월 29일 - 욱수농악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
주관 단체 | 욱수농악보존회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3173[매호동 1344-17] |
성격 | 민속놀이 |
노는 시기 | 정월 초사흗날|정월대보름 |
관련 의례 행사 | 동제 |
예능 보유자 | 손석철 |
문화재 지정 번호 |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
[정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욱수동을 중심으로 전승되는 농악.
[개설]
욱수농악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욱수동에서 자생적으로 전승되는 풍물놀이이다. 자연부락의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해마다 정월 초사흗날 마을 제사 때 동제당에서 신내림을 축원하는 천왕받이굿과 이어서 놀던 판굿, 대보름 때의 지신밟기, 달불놀이 때의 마당놀이가 하나의 틀이 되어 전승되어 왔다. 특히 욱수동이 경상북도와 대구의 경계에 있어 두 지역 농악의 특징이 함께 나타나며, 경상도 특유의 단순하면서도 박력 있는 가락과 정교한 쇠가락이 어우러지는 복합적인 특성을 띠고 있다. 다른 지역 풍물놀이에는 없는 외따기놀이가 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1988년 대구직할시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연원]
욱수농악이 언제부터 연희되었는지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해마다 정월 초사흗날에 지내던 동제 때 연행되던 천왕받이굿에서 전래되었다고 한다.
[놀이 도구 및 장소]
욱수농악은 쇠[상쇠, 종쇠], 징, 북, 장구, 소고, 목나발, 기수[농기, 영기], 잡색[양반, 색시, 포수] 등으로 편성된다. 마을에서 정월 초사흗날 동제를 지낼 때에는 풍물패가 질메구[길굿]를 치며 천왕당으로 이동하여 당나무 주변에 도열한다. 천왕받이굿이 끝나면, 풍물패는 신을 모신 단기를 앞세우고 제관의 집으로 향하여 제관 집 지붕에 단기를 걸쳐 두고 마을 사당으로 향한다. 사당에서 판굿을 진행한 후, 온종일 지신밟기를 한다.
[놀이 방법]
욱수농악의 과정은 입장, 인사, 방향 전환, 동글레미, 호호굿, 마당놀이, 외따기놀이, 십자진, 오방진, 덧배기[춤굿], 덕석말이, 인사, 퇴장으로 진행된다. 외따기놀이는 욱수농악에서만 볼 수 있는 놀이이다. 외따기는 참외따기의 줄임말인데, 참외 서리를 놀이화한 독특한 연행이 특징이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욱수동의 동제는 1970년대 도시화 과정에서 중단되었고, 달불놀이는 산불의 위험을 방지하고자 금지되었다.
[현황]
욱수농악은 1963년 2월 25일 주민들이 조직한 친목회를 중심으로 전승되어 오다가 현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3175[매호동 1344-1] 지하1층에 있는 욱수농악보조회가 욱수농악의 전승과 보급에 힘쓰고 있다. 기능보유자인 김호성이 2006년 세상을 뜬 후, 욱수농악 놀이 방법 전체를 전수받은 상쇠 손석철이 2019년 기능보유자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