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365 |
---|---|
한자 | 全伯英 |
영어공식명칭 | Jeon Baekyoung |
이칭/별칭 | 파계(巴溪),문평(文平)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
시대 |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구본욱 |
출생 시기/일시 | 1345년 - 전백영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368년 - 전백영 승보시 합격 |
활동 시기/일시 | 1371년 - 전백영 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393년 - 전백영 간의대부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397년 - 전백영 병조전서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398년 - 전백영 풍해도도관찰출척사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399년 - 전백영 대사헌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400년 - 전백영 동지경연사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405년 - 전백영 예조판서 역임 |
몰년 시기/일시 | 1412년 10월 26일 - 전백영 사망 |
출생지 | 고모 -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모동 |
거주|이주지 | 파동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
수학지 | 영천 - 경산북도 영천시 |
유배|이배지 | 하동 - 경상남도 하동군 |
유배|이배지 | 결성 -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
묘소|단소 | 전백영 묘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상원리 산233 |
성격 | 문관 |
성별 | 남성 |
본관 | 옥산(玉山) |
대표 관직 | 경상도도관찰출척사|대사헌|예조판서 |
[정의]
조선 전기 대구 출신의 문관.
[가계]
전백영(全伯英)[1345~1412]의 본관은 옥산(玉山)이며, 호는 파계(巴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청도감무 전효량(全孝良)이고, 할아버지는 전객령 전문주(全文柱)이다. 아버지는 상호군 전의룡(全義龍)이고, 어머니는 집의 최원우(崔元祐)의 딸 월성최씨(月城崔氏)이다. 부인은 인천이씨(仁川李氏)이며, 아들은 전유성(全由性)이다. 동생은 전백종(全伯宗)이다.
[활동 사항]
전백영은 1345년(충목왕 1) 지금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모동에서 태어나 파동으로 이주하였다.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1337~1392]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368년(공민왕 17) 승보시(升補試)에 합격한 뒤 1371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고려 때는 주로 간관(諫官)에 종사하였는데, 친원파(親元派)를 배격하고 친명책(親明策)을 역설하여 경상도 하동과 충청도 결성에 10여 년간 유배되었다.
전백연은 1392년(태조 1) 7월 조선이 개국할 당시에도 귀양지에 있었으며, 1393년에 간의대부에 임명되었다. 1397년 병조전서를 역임하였고, 1398년 풍해도(豐海道)[황해도]도관찰출척사로 부임하였다. 1399년(정종 1) 대사헌을 거쳐 1400년 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가 되었다. 이후 경상도·경기도의 도관찰출척사를 역임하고 1405년(태종 5) 지의정부사를 거쳐 예조판서가 되었다. 1412년 관직에서 물러난 뒤 낙향하여 10월 26일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전백영의 저술로는 『파계실기(巴溪實紀)』가 있다.
[묘소]
전백영의 묘소는 달성군 가창면 상원리 산233에 있다.
[상훈과 추모]
전백영은 문평(文平)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전백영을 추모하기 위하여 달성군 가창면 상원리 415에 박곡서당(樸谷書堂)이 건립되었다. 박곡서당 앞에 1949년 김영한(金甯漢)이 비명을 지은 ‘정헌대부 예조판서 지의정부사 문평공 파계 전 선생 신도비(正憲大夫禮曹判書知議政府事文平公巴溪全先生神道碑)’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