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20703
한자 行政[東區]
영어공식명칭 Administration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병덕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에서 이루어지는 공공 문제 해결 및 공공 서비스의 생산, 분배와 관련된 지방자치단체의 제반 활동.

[개설]

행정은 근대 국가 성립 이후 1900년대 초까지는 국가의 질서 유지에 기능이 있었다. 그러나 1900년대 중반 이후로 행정은 국민의 일상생활 전반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방향으로 그 역할과 범위가 크게 확대되었다. 기존의 질서 유지 기능뿐만 아니라 수도·전기·교통·통신 등 사회 간접 시설의 제공, 학교·도서관·공원 등의 문화 시설의 확충, 사회적 약자 보호와 경제 활동의 적극적인 지도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였다. 따라서 현대적 의미의 행정은 공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공 문제 해결 및 공공 서비스의 생산·분배와 관련된 중앙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의 제반 정책 형성 및 집행 활동으로 이해된다.

[행정구역의 변천]

대구광역시는 삼국시대에는 달구불(達句火) 또는 달구벌(達句伐)로 불리다가 757년(경덕왕 16)에 대구(大丘)로 개칭되었다. 현재와 같은 ‘대구(大邱)’라는 한자 명칭이 사용된 것은 1778년(정조 2)부터이다.

1143년(인종 21)에는 대구현(大丘縣)에 현령관이 파견되었고, 1419년(세종 1)에 대구현(大丘縣)이 대구군(大丘郡)으로, 1466년(세조 12)에는 대구도호부(大丘都護府)로 승격되었다. 1910년에는 대구부(大邱府)가 설치되었으며, 1949년 8월 15일 대구시(大邱市)로,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大邱直轄市)로 승격되었으며,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대구광역시 동구는 1938년 대구부 동부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1963년 1월 1일 구제(區制) 실시에 따라 대구시 동구로 된 후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1963년 구제 실시로 대구시 동구가 된 이후의 행정구역의 변천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63년 1월 1일 「법률 제1174호」[1962. 11. 21 공포]로 구제 실시에 따라 동부출장소 및 동촌(東村) 출장소를 통합 동구로 승격[24동] 하였다.

1963년 1월 16일 「시 조례 제279호」[963. 1. 16 공포]로 동촌 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63년 4월 8일 「시 조례 제305호」[1963. 4. 2 공포]로 신천(新川) 1구동과 6구동으로 분동[41동 →42개 행정동] 하였다.

1965년 2월 1일 「시 조례 제387호」[1965. 1.27 공포]로 행정동 통·폐합[33개 행정])하였다.

1966년 1월 1일 「시 조례 제416호」[1965. 11. 1 공포]로 수성동(壽城洞)을 수성 1, 2, 3가동으로 분동[24동 → 26동] 하였다.

1966년 8월 1일 「시 조례 제450호」[1966. 7.18 공포]로 행정동 수성동(壽城洞)을 수성 1, 2, 3동으로 행정동 명칭을 변경하였다.

1968년 7월 20일 「시 조례 제501호」[1968. 6. 5 공포]로 북구 칠성 2가동 일부를 신암동에 편입하였다.

1970년 7월 1일 「시 조례 제610호」[1970. 7. 1 공포]로 신암동(新巖洞) 1, 2, 3, 4구를 재편하여 신암동 1, 2, 3, 4, 5, 6구로 분동 하였다.

1975년 9월 23일 「대통령령 제7816호」[1975. 9. 23 공포]로 신암 3동, 6동 등 신암동 일부를 북구로 편입하는 등 구계 일부를 조정 하였다.

1975년 10월 1일 「시 조례 제919호」(1975. 10. 1 공포]로 신암 5동신암 3동으로 개칭하고, 범어동(泛魚洞)을 범어 1, 2동으로 분동하고, 검사(檢沙) 1동도동(道洞)으로 통합하고, 검사동 2구를 검사동으로 개칭하였다.

1976년 8월 1일 「시 조례 제968호」[1976. 8. 1 공포]로 동구 동촌 출장소를 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하였다.

1977년 12월 1일 「시 조례 제1086호」[1977. 11. 15 공포]로 황청동(黃靑洞)을 황금동(黃金洞)으로 개칭하였다.

1979년 5월 1일 「시 조례 제1181호」[1979. 4. 30 공포]로 효목동효목 1동과 2동으로 분동[33동 → 35개 행정동]하였다.

1979년 8월 23일 「시 조례 제121호」[1979. 8. 23 공포]로 신천(新川) 3동과 4동이 중구로 편입되고, 신천 5동신천 3동과 4동으로 분동하였다.

1980년 3월 18일 「시 조례 제1246호」[1980. 3. 18 공포]로 동촌 출장소를 폐지하고, 「시 조례 제1245호」 [1980. 3. 18 공포]로 동구 신천동 764의 3번지에서 같은 동 291의 8번지로 구청 소재지를 이전하였다.

1980년 4월 1일 「대통령령 제9630호」[1979. 9. 26 공포]로 동구를 동구와 수성구(壽城區)로 구분함에 따라 동구 중 범어동, 만촌동(晩村洞), 수성동 1, 2, 3, 4가, 황금동, 중동(中洞), 상동(上洞), 파동(巴洞), 두산동(斗山洞), 지산동(池山洞), 범물동(凡勿洞)을 통합하여 수성구를 신설하였다.

1981년 6월 29일 「시 조례 제1357호」[1981. 6. 29 공포]로 안심읍 및 공산면 전역 출장소를 운영하였다[안심읍 전역-안심 출장소, 공산면 전역-공산 출장소].

1981년 7월 1일 「법률 제3424호」[1981. 4. 13 공포]로 대구직할시 승격시 경산군(慶山郡) 안심읍(安心邑)과 달성군(達城郡) 공산면(公山面)을 편입하였다.

1982년 9월 1일 「시 조례 제1589호」[1982. 7. 4 공포]로 출장소에 행정동을 4개 설치하였다[안심 출장소 관내 3개동, 공산 출장소 관내 1개동].

1983년 3월 15일 「시 조례 제1651호」[1983. 3. 11 공포]로 출장소 폐지 및 기구 일부를 조정하였다. 공산 출장소 폐지, 안심 출장소 기구 일부를 조정[총무, 호적, 세무, 지적 업무만 관장함]하고, 「시 조례 제1654호」[1983. 3. 11 공포]로 출장소 관할구역에 행정동 설치하였다. 안심 출장소 관할구역에 안심 4동, 공산 출장소 관할구역에 공산 2동을 설치하였다.

1985년 12월 1일 「시 조례 제1911호」[1985. 10. 31 공포]로 불로동(不老洞)과 봉무동(鳳舞洞)을 불로봉무동으로, 둔산동(屯山洞)부동(釜洞)을 둔산부동으로 통합하였다.

1986년 12월 22일 「시 조례 제2027호」[1986. 12. 22 공포]로 구청소재지를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22길 34[신천동 291- 8]에서 대구광역시 동구 아양로 207[신암동 36-1]로 이전하였다.

1987년 1월 1일 「시 조례 제2057호」[1986. 12. 31 공포]로 관할구역을 변경하였다. 신암 4동 관할구역 중 일부를 북구 복현동(伏賢洞)에 편입하고, 공산 2동 관할구역 중 연경동(硏經洞)을 북구로 편입하고, 대구광역시 수성구 가천동(佳川洞) 일부가 대구광역시 동구 율하동(栗下洞)으로 편입되었다.

1990년 6월 1일 「구 조례 제166호」[1990. 5. 18]로 신암 4동신암 4동과 5동으로 분동[25개 동→26개 동]하였다.

1992년 10월 14일 「구 조례 제238호」로 공산 2동의 미대, 내동을 공산 1동으로 행정동을 변경하였다.

1995년 1월 1일 「법률 제4789호」로 대구직할시 동구를 대구광역시 동구로 개칭하였다.

1998년 9월 1일 「구 조례 제397호」로 행정구역개편에 따라 26개동을 20개동으로 통합하였다. 신천 1동신천 2동 일부는 신천 1·2동으로, 신암 2동신천 2동 일부는 신암 2동으로, 도동평광동은 도평동으로, 입석동과 검사동은 동촌동으로, 둔산부동, 신평동, 방촌동 일부는 해안동으로, 안심 3동과 안심 4동은 안심 3·4동으로, 공산 1동과 공산 2동은 공산동으로 통합되었다.

1998년 9월 21일 「구 조례 제403호」로 안심출장소가 폐지되었다.

1999년 9월 1일 동기능 전환이 실시되고, 주민자치센터가 설치 운영되었다.

[구정목표]

2017년 12월 현재 대구광역시 동구의 구정목표는 “구민 중심, 기본이 바로 선 강한 동구!”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정방침은 부자도시, 안전도시, 청정도시, 건강도시, 행복도시이다.

구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역점시책은 다음과 같다.

1. 21세기 동구의 백년대계를 그려 나가겠습니다.

2. 일자리 중심의 민생경제를 보살펴보겠습니다.

3. 문화 관광을 통한 동구 재도약을 실현하겠습니다.

4. 꿈과 희망이 넘치는 학습도시를 만들겠습니다.

5. 취약계층을 위한 주민복지 향상에 힘쓰겠습니다.

6. 편리하고 건강한 생활 인프라를 조성하겠습니다.

7. 소통과 화합, 구민 중심의 행정을 펼쳐나가겠습니다.

[지역특성]

대구광역시 동구는 대구 중심지에서 동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대구광역시 동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북구, 군위군과 경상북도 경산시, 영천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지역으로 1963년 1월에 기존의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구광역시 전체 면적의 20.6%에 해당하는 182.18㎢의 넓은 면적을 가진 동구는 도농복합도시로서, 대구국제공항동대구복합환승센터가 소재하고 사통팔달(四通八達)의 고속도로망이 연결된 영남권 광역교통의 핵심도시이다. 그리고 팔공산(八公山)이 소재하며 동화사·파계사·부인사·갓바위·불로고분군 등 풍부한 문화유산을 보유한 역사 문화도시이다. 대구혁신도시, 첨단의료복합단지, 이시아폴리스 등 대형 국·시책 프로젝트 사업으로 대구·경북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신성장동력 도시이다.

신암동, 신천동, 효목동 일대와 공군 비행장 때문에 개발 고도가 제한된 동촌 지역은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특히, 공군 비행장으로 인한 개발 제한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촌 지역 구간의 이용률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동촌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행장에서 떨어져 있는 안심동 지역은 반야월 신길을 중심으로 율하지구·동호지구가 개발되고, 신서동·각산동 일대에 혁신도시가 조성되면서 인구가 계속 늘고 있다. 팔공산 생활권 중 불로봉무동은 인구가 증가하는 지역이며, 공산동은 농촌 성격을 강하게 띄고 팔공산[갓바위, 동화사, 파계사 등]을 중심으로 한 관광업이 발달하였다.

[행정조직]

대구광역시 동구의 행정조직은 구청장과 부구청장 아래 3국 2실 19과 1보건소로 구성되어 있다. 3국은 자치행정국, 경제복지국, 그리고 안전도시국이다. 2실은 기획조정실과 감사실이다. 19과는 자치행정국의 행정지원과, 홍보전산과, 문화관광과, 민원봉사과, 세무1과, 세무2과 등 6개 과, 경제복지국의 창조경제과, 복지정책과, 생활복지과, 가족복지과, 환경자원과, 위생과 등 6개 과, 안전도시국의 안전총괄과, 도시과, 공원녹지과, 건축주택과, 건설과, 교통과, 토지정보과 등 7개 과가 있다.

[생활권과 행정조직]

대구광역시 동구의 생활권은 금호강 서쪽에 위치한 경부선 동대구역 인근의 신암·신천·효목 생활권[신암동, 신천동, 효목동]과 금호강 동쪽에 위치한 대구국제공항 인근의 동촌 생활권[지저동, 동촌동, 방촌동, 해안동], 옛 안심읍 일대의 안심동[반야월] 생활권, 팔공산익산포항고속도로 일대의 팔공산 생활권[불로봉무동, 도평동, 공산동] 등 크게 네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대구광역시 동구의 행정동은 공산동, 도평동, 동촌동, 방촌동, 해안동, 불로봉무동,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4동, 지저동, 효목1동, 효목2동이 있다. 법정동으로는 내동(內洞), 능성동(能城洞), 덕곡동(德谷洞), 도학동(道鶴洞), 미곡동(米谷洞), 미대동(美垈洞), 백안동(百安洞), 송정동(松亭洞), 신무동(新武洞), 신용동(新龍洞), 용수동(龍水洞), 중대동(中大洞), 지묘동(智妙洞), 진인동(眞仁洞), 도동(道洞), 평광동(坪廣洞), 검사동(檢沙洞), 입석동(立石洞), 방촌동(芳村洞), 둔산동(屯山洞), 부동(釜洞), 신평동(新坪洞), 봉무동(鳳舞洞), 불로동(不老洞), 신암동(新岩洞), 신천동(新川洞), 신기동(新基洞), 율하동(栗下洞), 매여동(梅餘洞), 상매동(上梅洞), 용계동(龍溪洞), 율암동(栗岩洞), 각산동(角山洞), 괴전동(槐田洞), 금강동(琴江洞), 내곡동(內谷洞), 대림동(大林洞), 동내동(東內洞), 동호동(東湖洞), 사복동(司福洞), 서호동(西湖洞), 숙천동(淑泉洞), 신서동(新西洞), 지저동(枝底洞), 효목동(孝睦洞)이 있다.

[참고문헌]
  • 대구광역시 동구청(http://www.dong.daegu.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