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0458 |
---|---|
한자 | 大韓民國 政府 樹立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일수 |
[정의]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에 따른 경상북도 달성군 지역의 정세 변동.
[역사적 배경]
1948년 5월 10일 우리나라 최초의 자유 선거로서 남한만의 단독 선거가 치러져 제헌 국회가 구성되었다. 달성의 5·10 선거 과정에서 단독 정부를 반대하는 시위가 전개되었고, 5·10 선거 이후에도 단독 정부 수립에 반대하는 시위가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치러진 제헌 국회에서 달성군에서는 김우식(金禹植)이 제헌 국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경과]
제헌 국회는 1948년 7월 17일 헌법 제정을 선포하였으며, 7월 20일 이승만(李承晩)과 이시영(李始榮)을 초대 정부통령으로 선출하였다. 1948년 8월 15일에 대한민국 정부가 정식으로 수립되었다. 1948년 8월 15일 달성은 대한민국 정부 아래 일제의 잔재를 극복하고, 새로운 지방 사회 건설에 나서게 되었다.
[결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달성군은 군청의 조직을 미 군정기의 내무과, 산업과, 보건 후생과의 3과를 내무과, 산업과의 2과 체제로 개편하였고, 행정 구역은 공산면, 가창면, 하빈면, 월배면, 옥포면, 유가면, 논공면, 다사면, 동촌면, 성서면, 화원면, 현풍면, 구지면 등 13개가 존속되었다. 1949년 7월 지방 자치법 시행령에 따라 달성군에도 읍·면 의회를 설치할 수 있게 되었으나 1950년 2월 정부의 지방 선거 연기 공포와 한국 전쟁으로 인해 지방 자치는 실시되지 못하였다.
[의의와 평가]
달성군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일제 강점기, 미 군정기의 정치·사회의 구조를 탈피하고자 하는 노력을 펼쳤다. 그러나 정부 수립을 반대하는 4·3 항쟁의 여파로 발생한 대구6연대 사건이 발생하였다. 1949년 국민 보도 연맹의 결성과 그것에 이은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달성군은 민간인 학살의 아픔을 겪게 되었다. 그 뒤 달성은 대구의 도시 확대에 따라 점차 자신의 땅을 대구에 편입시키면서도 달성의 역사와 문화를 굳건히 지켜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