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1149
한자 원단(元旦)
영어공식명칭 Seollal, Korean New Year's Day, New Year's Day in the lunar calendar
이칭/별칭 설날,원단(元旦)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서모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명절, 세시풍속
의례 시기/일시 음력 1월 1일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에서 음력 1월 1일에 행하는 의례, 음식, 놀이 등의 풍속.

[개설]

음력 1월 1일은 설날이다. 은 한해의 시작이자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명절이며 원단(元旦)이라고도 한다. 설날에는 새 옷을 마련하여 입는데 이를 설빔[세장, 歲粧]이라고 한다. 음식을 마련해 차례(茶禮)를 지내며 웃어른께 세배(歲拜)로 한 해의 첫 인사를 드린다. 설날의 시절음식으로는 떡국이 있다.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와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등은 공통적으로 설날 시절음식으로 떡국을 언급하고 있는데, 탕병(湯餠) 혹은 병탕(餠湯)이라고 표기하였다.

[설날의 음식]

설날은 한국의 가장 큰 명절 중 하나로 갖가지 음식을 마련해 조상께 차례를 지낸다. 『동작구지』[1994]에 기록된 설날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으로는 쌀로 빚은 술과 각종 떡[편, 약식, 인절미 등]과 과즐[산자 등], 배, 사과, 감, 곶감, 밤, 대추 등의 과실류와 북어포, 산적, 떡국 등이 있다.

2000년대 후반 조사에 따르면 예전 동작구 지역에서는 설날이 가까워 오면 차례상에 오를 음식과 세배꾼들을 위한 세찬(歲饌)을 마련하느라 분주했다고 한다. 특히 몇 주 전부터 떡국에 쓸 가래떡을 장만하고 두부, 식혜, 전, 떡 등 손이 많이 가는 음식들을 마련했다고 한다.

이중 떡국은 설날의 대표적인 시절음식으로, 여러 정의에 따르면 소고기나 꿩, 닭고기 육수에 동글납작한 엽전 모양으로 썬 가래떡을 넣어 끓여서 만든 음식을 뜻한다. 최근에는 꿩을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소고기, 닭고기, 혹은 사골육수 등을 사용하여 만든다. 1930~1950년대에 출생한 사람들의 경우, 지금처럼 가래떡을 구입하지 않고 쌀을 담가 방앗간에 가서 가래떡을 뽑아오던 기억을 회상하기도 한다. 『흑석동의 과거와 현재』[2009]에 실린 구술에 따르면 예전에는 설날을 앞두고 24㎏ 분량의 쌀로 가래떡을 만들었다고 한다. 일부 가정의 경우 밀가루로 피를 만들고 김치, 돼지고기, 숙주 등의 재료로 소를 채운 만두를 빚어 만둣국을 만들어 먹기도 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동작구지』[1994]에 따르면 설날 돈을 빌리거나 빌려주면 복이 나간다는 속설이 있었다고 한다. 반면, 일 년간 쓸 복조리를 구입해두면 복이 들어온다 하여 복조리를 구입했다고 한다.

섣달 그믐날[음력 12월 30일]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센다고 하여 아이들이 잠을 자지 않고 버티기도 하였다. 또 야광귀(夜光鬼)가 아이들의 신발을 신어보고 발에 맞으면 그 아이가 죽거나 불길하다고 하여 신발을 모두 감추고 체를 걸어 놓기도 하였다. 설날을 포함해 정월 대보름까지는 그네뛰기, 연날리기, 윷놀이 등의 민속놀이를 즐기기도 했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은 마을 단위의 잔치처럼 치러졌으나, 1970년대 이후 동작구에 외지인들이 많이 들어오면서 마을 단위의 명절 풍경은 잘 볼 수 없게 되었다. 최근에는 양력 새해 첫날과 음력 새해 첫날을 모두 기념하는 경향이 있다. 30대 이하 젊은 층에서는 친구들끼리 해돋이나 모임을 통해 양력 새해 첫날을 즐긴다. 반면, 음력 은 아직도 가족이 모두 모여 차례를 지내는 전통방식을 지키는 가정이 많다. 차례 이후에 집안의 어른께 세배를 드리는데, 예전에는 세배 후 세찬이라 하여 곶감, 대추, 밤 등의 과실류 등을 받았지만, 1970년대 무렵부터는 세배를 받은 어른이 아이에게 세뱃돈을 주는 풍습으로 바뀌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