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800649 |
---|---|
한자 | 禪雲寺事蹟記 |
영어음역 | Seonunsa Sajeokgi |
영어의미역 | History of Seonunsa Temple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500[선운사로 250] 선운사 성보박물관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안후상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7년 7월 18일 - 선운사사적기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55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선운사사적기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성격 | 사적기 |
저술연도/일시 | 조선 후기 |
편찬연도/일시 | 조선 후기 |
간행연도/일시 | 조선 후기[『선운사적(禪雲寺蹟)』]|1794년[『참당사사적기(懺堂寺事蹟記)』]|1698년[『선운사고적(禪雲寺古蹟)』] |
권수 | 3권 |
책수 | 3책 |
사용활자 | 필사본 |
가로 | 49.2㎝[『선운사적』]|56.7㎝[『참당사사적기』]|48.0㎝[『운사고적』] |
세로 | 71.0㎝[『선운사적』]|77.8㎝[『참당사사적기』]|68.5㎝[『운사고적』] |
표제 | 禪雲寺蹟|懺堂寺事蹟記|禪雲寺古蹟 |
간행처 | 선운사 |
소장처 | 선운사 |
소장처 주소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500[선운사로 250] 성보박물관 내 |
문화재 지정번호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
[정의]
조선 후기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선운사 성보박물관에 있는 선운사 사적에 대한 내용을 기록한 3권의 책.
[개설]
선운사의 역사를 알 수 있는 여러 문헌 가운데 하나인 ‘선운사사적기’는 선운사의 중건과 창건, 사찰 내의 물품 현황 등을 기록한 고문서로, 『선운사적(禪雲寺蹟)』·『참당사사적기(懺堂寺事蹟記)』·『선운사고적(禪雲寺古蹟)』 등 3책을 말한다. 3책 모두 편찬 및 발간 경위는 확인할 수 없다. 1997년 7월 18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5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사적기는 1998년 9월 10일에 선운사 성보박물관이 개관하면서 성보박물관으로 옮겨졌다.
[형태]
『선운사적』은 표지를 포함하여 총 30판으로 되어 있다. 필사본으로, 표제는 ‘선운사적(禪雲寺蹟)’이다. 크기는 가로가 49.2㎝ 세로가 71.0㎝이다. 표지는 쪽빛 무명, 본문은 저지묵서(楮紙墨書)다.
『참당사사적기』는 필사본으로, 총 21판으로 되어 있다. 표제는 ‘참당사사적기(懺堂寺事蹟記)’이다. 크기는 가로가 56.7㎝ 세로가 77.8㎝이다. 표지와 본문 모두 저지묵서다.
『선운사고적』은 필사본으로, 총 33판으로 되어 있다. 표제는 ‘선운사고적(禪雲寺古蹟)’이다. 크기는 가로가 48.0㎝ 세로가 68.5㎝이다. 표지는 쪽빛 무명이고, 본문은 저지묵서다.
[구성/내용]
『선운사적』은 선운사의 각 건물의 규모와 전각·요사에 봉안된 불상과 탱화, 경전 및 각종 기물(器物)의 물목(物目) 등을 기록한 「선운사 사물록서(禪雲寺寺物錄書)」·「선운사 사물록기기(禪雲寺寺物錄起記)」·「팔상전기록(八相殿記錄)」등이 들어 있다.
『참당사사적기』는 참당사 및 선운사의 사적이 기록되어 있다. 표지에는 ‘도솔산고적책(兜率山古蹟冊)’이란 또 다른 표제가 있으며, 그 옆에 ‘당태종정관원년시적(唐太宗貞觀元年始蹟)’이라 적혀 있다. 「도솔산대참사고사(兜率山大懺寺故事)」와 「대참사법당기(大懺寺法堂記)」, 「대참사사적기(大懺寺事蹟記)」 등이 들어 있다.
『선운사고적』 표지에는 ‘상지이십계월일중수(上之二十季月日重修)’라고 적혀 있다. 「도솔산선운사창수승적기(兜率山禪雲寺創修勝蹟記)」와 「사중대종명(寺中大鍾銘)」 등이 들어 있다.
[의의와 평가]
선운사와 참당사의 창건과 중건, 규모와 연혁, 전각, 불화, 각종 기물 등의 상태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사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