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항목과 표제어 |
1) 항목 선정의 기본 방향과 범위 |
|
「디지털구리문화대전」에서는 구리시 지역에서 이루어진 역사상의 문화유산과 현대적 양상을 다룰 수 있는 항목을 각 분야 및 유형별로 ‘향토문화 분류체계’에 근거하여 선정하였다. |
|
<구리문화대전 콘텐츠 분류체계>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삶의 터전
(지리) |
자연지리 |
지질·지형 |
인문지리 |
행정구역, 마을, 교통, 관광 |
동식물 |
동물상, 식물상 |
삶의 내력
(역사) |
전통시대 |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
근현대 |
근대, 현대 |
삶의 자취
(문화유산) |
유형유산 |
유물, 유적 |
기록유산 |
향토지, 고문헌·고지도 |
무형유산 |
|
삶의 주체
(성씨·인물) |
성씨·세거지 |
|
전통시대인물 |
문무 관인, 문인·학자, 효자·열녀, 의병, 승려 |
근현대인물 |
의병·독립운동가, 예술인, 문인·학자, 행정 관료·경제인, 종교인 |
삶의 틀
(정치·경제·사회) |
정치·행정 |
지방, 자치·제도, 공공기관 |
경제·산업 |
기업·경제단체, 시장·산업, 시설, 특산물 |
사회·복지 |
사회 단체, 복지 시설, 보건 의료 |
과학기술 |
|
삶의 내용 (1)
(종교) |
불교 |
|
유교 |
|
기독교 |
천주교, 개신교 |
신종교 |
|
삶의 내용 (2)
(문화·교육) |
문화·예술 |
문화 예술 단체, 문화 예술 작품, 문화 시설, 지역 축제·행사 |
체육 |
체육 단체, 체육 시설, 체육 대회 |
교육 |
교육 기관, 유아·특수·평생 교육, 도서관·박물관, 지원 기관 |
언론·출판 |
신문, 출판 |
삶의 방식
(생활·민속) |
생활 |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
민속 |
평생 의례·세시 풍속, 민간 신앙, 민속놀이, 생활 도구 |
삶의 이야기
(구비전승·언어·문학) |
구비전승 |
민요·무가, 설화 설화 |
언어 |
|
문학 |
문학 작품·문예지, 문학 단체·행사 |
|
|
2) 항목의 분류 |
|
「디지털구리문화대전」에 수록된 모든 항목들은 분야별, 유형별, 시대별로 분류하였다. |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분야, 유형, 시대 분류표> |
분 야 |
대분류 |
중분류 |
지리 |
자연 지리 |
인문 지리 |
동식물 |
역사 |
전통 시대 |
근현대 |
문화유산 |
(유형유산) |
(무형유산) |
(기록유산) |
성씨·인물 |
성씨·세거지 |
(전통시대인물) |
(근현대인물) |
정치·경제·사회 |
정치·행정 |
경제·산업 |
사회·복지 |
과학 기술 |
종교 |
불교 |
유교 |
기독교 |
신종교 |
문화·교육 |
문화·예술 |
체육 |
교육 |
언론·출판 |
생활·민속 |
생활 |
민속 |
구비전승·언어·문학 |
구비 전승 |
언어 |
문학 |
유 형 |
개념 용어 |
개념 용어(일반) |
개념 용어(기획) |
개념 용어(개관) |
기관 단체 |
기관 단체(일반) |
학교 |
사찰 |
놀이 |
놀이 |
동물 |
동물 |
문헌 |
전적 |
단행본 |
연속 간행물 |
문서 |
물품·도구 |
물품·도구 |
사건 |
사건·사고와 사회운동 |
조약과 회담 |
성씨 |
성씨 |
식물 |
보호수 |
식물(일반) |
유물 |
기명류 |
불상 |
서화류 |
유물(일반) |
유적 |
건물 |
능묘 |
터 |
유물 산포지 |
비 |
탑과 부도 |
고분 |
유적(일반) |
민간 신앙 유적 |
음식물 |
음식물 |
의례 |
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제 |
의복 |
의복 |
인물 |
문무 관인 |
효자·열녀 |
문인·학자 |
왕족·호족 |
예술인 |
종교인 |
의병·독립운동가 |
인물(일반) |
가공 인물 |
작품 |
음악·공연작품 및 영상물 |
민요와 무가 |
무용과 민속극 |
문학 작품 |
미술과 공예 |
설화 |
제도 |
법령과 제도 |
상훈 |
관직 |
관부(전통 시대) |
지명 |
행정 지명과 마을 |
고지명 |
시설 |
도로와 교량 |
자연 지명 |
군락, 서식지 및 철새도래지 |
특산물 |
특산물 |
행사 |
행사 |
시 대 |
대분류 |
중분류 |
내용 |
선사 |
석기 |
|
청동기 |
|
철기 |
|
고대 |
초기 국가 시대 |
고조선 |
부여 |
옥저 |
동예 |
삼한 |
삼국 시대 |
가야 |
고구려 |
백제 |
신라 |
남북국 시대 |
통일 신라 |
발해 |
태봉 |
후백제 |
고려 |
고려 전기 |
918(태조)~1170(의종) |
고려 후기 |
1171(명종)~1392(공양왕) |
조선 |
조선 전기 |
1392(태조)~1592(선조 25) |
조선 후기 |
1593(선조 26)~1863(철종) |
근대 |
개항기 |
1864(고종)~1910(순종) |
일제 강점기 |
1910.8.22~1945.8.14 |
현대 |
현대 |
1945.8.15 이후 |
|
|
3) 항목의 종류 |
|
항목은 일반항목과 특별항목으로 나누고, 특별항목은 개관항목, 기획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원고량은 200자 원고지를 기준으로 소항목(3~5매), 중항목(7~10매), 대항목(20매 이상)으로 구분된다. |
일반항목 |
구리시 지역 향토문화의 모든 정보 요소와 현상을 담는 기초항목. |
개관항목 |
구리시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되는 항목으로서 구리시의 문화 양상을 통시적․공시적으로 개관하는 항목. |
기획항목 |
구리시 지역 향토문화 자원 중에서 특정한 주제나 요소를 통해서 구리시 향토문화의 특징과 다양성을 부각시키고 강조하는 항목. |
|
|
「디지털구리문화대전」에 수록된 각 항목별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일반항목 |
준비중 |
개관항목 |
인문 지리, 구리시, 식물상, 동물상, 역사, 선사, 세거 성씨, 정치, 경제·산업, 사회·복지, 과학 기술, 종교, 불교, 유교, 개신교, 천주교, 신종교, 문화·예술, 체육, 교육, 언론·출판,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민속, 구비 전승, 언어, 문학, 행정, 자연 지리 |
기획항목 |
준비중 |
|
|
4)항목 선정 기준 |
|
모든 항목은 19개 유형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
개념용어 |
구리시의 향토문화 유산이나 문화적 양상, 구리시 문화의 분야별 또는 유형별로 종합 서술이 필요한 개념용어 |
기관단체 |
구리시에 소재하는 기관단체이거나, 구리시 출신이 조직한 기관단체로 구리시 발전에 공적이 큰 기관단체 |
놀이 |
구리시에 전승되어 오거나, 과거에 행해졌던 전통놀이 |
동물 |
구리시 내에 분포·서식하면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동물 |
문헌 |
구리시를 주제로 한 문헌이나, 구리시 출신의 저명한 인물이 저술한 문헌 중 대표적인 것 |
물품도구 |
구리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물품, 특산물 |
사건 |
구리시민이 주체가 되어 일으켰거나, 구리시 내에서 발생하여 변혁을 가져온 사실이 있는 사건 |
성씨 |
구리시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 또는 과거에 집성촌을 이루었거나, 2011년 2월 현재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성씨 |
식물 |
구리시 내에 분포 서식하면서 특별한 의미가 있는 식물 |
유물 |
구리시 내의 국가 또는 지방 지정문화재는 모두 선정하며, 지정문화재가 아니더라도 향토문화 유산으로 역사적 가치가 인정되는 것 |
유적 |
구리시 내의 국가 또는 지방 지정문화재는 모두 선정하며, 지정문화재가 아니더라도 향토문화 유산으로 역사적 가치가 인정되는 것 |
음식물 |
구리시의 지역적 특성이 강한 음식 |
의례 |
구리시의 지역적 특징이 드러나는 의례 및 기록으로 남아 있는 의례 |
의복 |
구리시의 역사적․지역적 특성이 드러나는 의복 |
인물 |
구리시 출신이거나, 구리시에 거주하거나, 구리시를 삶의 무대로 활동한 인물 중에서 작고한 인물 |
작품 |
구리시 출신 작가의 대표적인 작품이나, 구리시를 소재로 하여 구리시의 특징을 부각시킨 작품 및 구리시에 전승되고 있는 의미 있는 작품 |
제도 |
구리시민이 주체가 되어 설치한 기구 및 직명, 구리시에 있었던 행정 기구, 그리고 구리시가 제정한 상훈 등 |
지명 |
구리시 내의 법정지명 및 행정지명, 고지명, 자연지명 |
행사 |
구리시 내에서 개최된 국제 또는 전국·도 규모의 행사 및 구리시를 대표할 수 있는 향토문화제 |
|
|
2. 본문 서술 |
1) 기본방향 |
● |
구리시의 향토문화 항목을 문헌기록, 현지조사 등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정리 서술한다. |
● |
구리시민의 문화 정체성을 정립하는 것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하여 구리시 지역 문화의 독자성과 우수성을 강조하고, 구리시민의 자부심을 부각시켜 교육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다. |
● |
원고 내용은 모두 집필자의 견해에 따른다. |
|
2) 서술방법 |
● |
모든 항목에는 관련 내용을 기본정보와 상세정보로 요약·정리하여 제공함으로써 독자들이 한눈에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기본정보에는 항목명, 이칭별칭, 관련 항목명, 분야분류, 유형분류, 시대분류, 지역분류, 멀티미디어 자료와 관련된 내용을 수록하였으며, 상세정보에는 19개 유형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을 담았다. |
● |
모든 원고는 소표제를 붙여 분할된 단위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19개 유형은 각각에 해당하는 주요 소표제 목록을 기준으로 서술되었다. 공통적인 소표제의 대략적인 순서와 그 포함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 정의 |
항목의 간략한 성격 규정과 함께 시대, 관련 인물, 위치, 용도, 이칭(異稱) 등 그 성격이나 문화적 위상을 드러낼 수 있는 내용 |
2) 개설 |
세계적 기원, 전파, 발달 과정, 범지역문화적 위치 등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설명이 필요한 항목에 국한하여 정의에 대한 보충 설명 및 일반적인 서술 항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 해석 및 학설상의 문제, 연구 상황, 각종 자료(주요 저서, 작품 등), 특별 기재 사항 |
3) 명칭유래 |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된 유래를 살펴보고 언어학적으로 분석할 가치가 있는 명칭의 경우 구체적으로 어원을 분석 |
4) 연원/역사적 관련사항 |
구리시에서 해당 항목이 어떻게 형성, 전래되었는가 그 연원을 직접적인 원인과 아울러 간접적인 원인을 포괄 서술하되, 동기·목적·시대적 배경·전래·유래 등과 관련 기록에 대한 고찰도 병기 |
5) 변천 |
시대적 변천 과정, 공식 명칭의 변경, 변이 양상의 출현 및 전개 과정 등 |
6) 형태 |
외형상 관찰 가능한 요소들의 형태를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기술 |
7) 특징 |
외래 문화적 요소는 구리시에서의 변용 내용을 서술. 역사적·지역적으로 의미가 있는 변별점에 대해 종합적이고 분석적으로 서술 |
8) 현황 |
소장 상황, 관리 상황, 이용 현황, 주변 현황 등 현재의 상황과 관련하여 언급할 만한 사항들을 포괄적으로 서술 |
9) 생활, 민속적 관련사항 |
민속, 상징, 풍습, 관련의례 등 구리시의 생활상 또는 민속 관련 상황 서술 |
10) 의의 및 평가 |
결론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구리시 지역 문화에서의 위치 또는 영향, 각 분야에서의 사적 의의, 타 지역 향토문화와의 비교 등 향토문화 관점에서 본 지역사적 의의 및 평가를 서술 |
11) 참고문헌 |
원고 내용 서술에 있어서 주요한 전거 문헌, 논문 등과 내용의 이해에 도움이 될 대표적 문헌·논문 등을 함께 열거 |
|
● |
현재 구리시에 대한 학계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서술하였으며, 통설을 기준으로 서술하되 학설상의 이설도 함께 소개함으로써 독자들이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전반의 통시적·공시적 관련성에 유념하여 서술하였다. |
● |
의의와 평가 부분은 부정적인 측면보다 긍정적인 측면이 부각되도록 서술하였다. |
● |
종합적인 이해를 위하여 비교론적 서술은 특별한 것을 제외하고는 가급적 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
● |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주관적 서술의 내용은 되도록 피하였다. |
|
3) 문장과 부호 |
● |
맞춤법과 띄어쓰기는 국립국어원의 원칙을 따르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필요에 따라 약간의 예외를 두었다. |
● |
한글 전용을 원칙으로 하되, 어려운 어구, 특수 용어 등은 괄호 안에 한자 또는 원어를 병기하였다. |
● |
일본어식 용어나 한자어는 되도록 우리말로 바꾸어 썼다. |
● |
읽기 쉽도록 단락을 짧게 나누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
● |
연대는 서력기원으로 표시하고 필요한 경우 괄호 안에 왕조년을 부기하였다. 또한 태양력이 채택된 1896년 전의 연대는 음력을, 그 뒤는 양력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
● |
수치는 아라비아 숫자로 쓰되, 관용적인 성격의 수치는 한글로 썼다. |
● |
도량형 단위는 미터법에 의하여 부호로 썼다. 다만, 과거 사실의 서술에서 정확한 환산이 어렵거나 시대적으로 보아 특별히 부자연스러운 경우는 그 당시의 단위를 사용하였다. |
● |
통계수치는 가능한 한 통계청의 최신자료를 수록하였다. |
● |
모든 고유명사는 가능한 그대로 사용하였다. 특히, 인물의 경우 성씨는 반드시 이름과 붙여 표기하였다. |
● |
원문 인용이 필요한 경우 번역하여 싣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
● |
본문에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 ] |
소표제 |
『 』 |
문헌, 저서명 |
「 」 |
작품, 논문명, 신문기사명, 법조문 제목 |
· |
비슷한 사항의 나열 |
“ ” |
인용 |
‘ ’ |
재인용, 강조 |
|
|
3. 시청각 자료 구성 |
|
「디지털구리문화대전」의 시청각 자료는 동영상, 사진, 도면, 파노라마 VR, 테마뷰, 특별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시청각 자료는 시청각 분류체계에 근거하여 구리시의 다양한 모습을 생동감 있게 전달하고 있다. |
자료 |
분류 1 |
분류 2 |
음향 |
전통음악 |
현대음악 |
사진/동영상/가상현실 |
자연과 지리 |
기후 |
자연지형 |
동물과 식물 |
도시와 마을 |
지역사회와 시설 |
경제와 산업 |
공공기관과 단체 |
지역시설 |
교육기관 |
역사와 문화유산 |
사건과 제도 |
지정문화재 |
유물 |
유적 |
문화예술과 신앙 |
종교와 신앙 |
행사와 축제 |
문학/문헌 및 작품 |
생활과 민속 |
생활사 |
의식주 |
도면 |
지도 |
고지도 |
행정지도/안내도 |
지형도/생태분포도 |
유물/유적과 도구 |
평면도 및 단면도 |
세부도 및 실측도 |
분포도 및 위치도 |
도표 |
자연과 지리 |
지역사회와 시설 |
역사와 문화유산 |
문화예술과 신앙 |
|
|
1) 동영상 |
● |
동영상은 기록영상으로 제작되었다. |
● |
기록영상은 일반 및 개관항목에 의거하여 소재 및 내용을 구성하였다. |
- |
기록영상은 실제 상황이나 자연 현상을 현장에서 사실 그대로 촬영한 영상으로서, 재현이나 극적 요소를 배제하여 제작하였다. |
- |
사라져 갈 위기에 처한 향토문화 유산들에 대해 우선적으로 기록하였으며, 전통적인 생활문화나 양식, 이를 경험하였던 인물, 전통, 예술, 공예 등이 이에 포함된다. |
- |
지역 사회와 문화의 변천상을 담아야 하므로 장기적으로 기록이 요구되는 자료를 수록하였다. |
- |
단, 일반 및 개관항목과 일치하지 않더라도 구리시의 지역적 특이성이 나타나는 사항에 대해서는 기록영상에 포함시켰다. |
|
● |
각각의 동영상에는 주요 내용에 대한 자막 외에 설명문을 기재하여 내용의 이해를 돕고 있다. |
|
2)파노라마 VR (가상현실) |
● |
파노라마 VR의 VR는 Virtual Reality의 약자, 즉 가상현실을 뜻한다.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마치 그 장소에 있는 것처럼 현장을 체험하게 해주는 기술이다. |
● |
공간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장소에 대하여 사용자가 직접 조정, 확대·축소,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현장에서 둘러보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
● |
사진과 동영상의 장점을 합하여 입체적인 공간 파악을 가능하게 하였다. |
|
3)사진 |
● |
구리시의 수려한 자연환경, 우수한 문화유산을 비롯하여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의 변화양상 등을 담은 사진을 통해 역동적인 구리시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
● |
구리시를 담은 다양하고 희귀한 과거 사진을 수집하였고, 이를 디지털 이미지로 가공하여 완성도를 높였다. |
● |
사진 자료에는 소재지, 색인어, 제공자 등의 세부 정보가 있으며, 모든 사진 자료는 설명문이 기재되어 내용의 이해를 돕고 있다. |
|
4)도면 자료 |
● |
도면은 독립적 자료 또는 원고 내용과 사진, 동영상 등으로 내용 전달의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보완 자료로서 수록하였다. |
● |
각종 유물·유적의 구조와 분포도, 지형도, 고지도 등을 도면 자료로 수록하였다. |
|
5)음향 자료 |
● |
구리시와 관련 있는 음향 자료를 수록하였다. |
● |
음향 자료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가사, 작사·작곡자, 시연자 등의 세부 정보를 서비스하고 있다. |
|
6)테마뷰 |
● |
구리시의 대표적 명소, 주제나 내용상 연계될 수 있는 자료, 취재 대상이 되는 마을을 대상으로 테마뷰를 구성하여, 수집 제작된 멀티미디어 자료들이 관련성을 가지고 서비스 될 수 있도록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