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401051
한자 言語
영어의미역 Language
이칭/별칭 하동 지역어,하동 방언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상남도 하동군
집필자 정미란

[정의]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독자적으로 갖는 언어 체계와 특이한 언어 현상.

[개설]

말이라는 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의사소통 수단이다. 말은 지역 및 집단의 자연 환경과 인문 환경의 영향을 받아 변환할 수도 있고 또는 새로이 만들어질 수도 있는 특성이 있으니, 이것을 언어의 사회적 유동성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유동성에 의하여 특정 지역에서만 생성 구사되는 말을 방언이라고 한다.

방언을 표준어와 대립되는 요소라고 보기도 하지만 언어학적 개념으로서의 방언이란 한 언어를 형성하고 있는 하위 단위로서의 언어 체계 전반을 가리킨다. 다시 말해, 방언이란 일정한 지역이나 사회 계층에서 사용되는 언어 체계, 즉 어떤 개별 언어를 지리적 혹은 사회적 요인에 의해 세분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동 지역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하동 방언’ 또는 ‘하동 지역어’라고 할 수 있다.

[특징]

하동군은 지리산섬진강 등 자연적 장애물이 많고, 경상남도의 변두리에 자리 잡고 있다. 서울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기에는 진주를 중심으로 한 문화권의 영향을 받아 왔다. 그리고 한려수도를 경계로 하는 남해군과, 섬진강을 경계로 하는 광양시·구례군 지역의 영향도 아울러 받아 왔다. 어느 지역의 언어든지 인접한 지역 언어의 영향을 받겠지만 하동 언어의 경우 특히 전라남도 지역과 접해 있어 호남 지역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았다.

1. 음운적 특징

1) 단모음 체계

하동의 방언의 단모음 체계는 서부 전라남도 방언이나 동부 경상남도 방언에서는 변별되지 않는 ‘ㅔ’와 ‘ㅐ’가 변별되고, 동부 경상남도에서 변별되지 않는 ‘ㅡ’와 ‘ㅓ’가 비교적 분명하게 존재한다. 즉 ‘ㅔ’와 ‘ㅐ’가 변별되는 7모음 체계 또는 ‘ㅡ’와 ‘ㅓ’까지 변별되는 8모음 체계[ㅏ, ㅓ, ㅗ, ㅜ, ㅡ, ㅣ, ㅔ, ㅐ]라고 할 수 있다. ‘ㅟ’와 ‘ㅚ’는 미약하게 실현된다.

2) 복모음 체계

복모음 체계를 살펴보면 동부 경상남도 방언은 5개의 복모음이 실현되나 서부 경상남도 방언인 하동의 방언은 7개의 복모음[ㅑ, ㅕ, ㅛ, ㅠ, ㅖ, ㅘ, ㅙ]이 실현된다.

2. 통사적 특징

1) 어말 어미

하동의 각 면 단위 지역마다 어말 어미의 형태가 다르다. 특히 존칭을 나타내는 어말 어미는 서술형과 명령형의 유형에 따라 지역마다 다른 형태로 실현된다.

(1) 극존칭 서술형 어미: ①옵니까: 화개면, 악양면, ②오니이게: 적량면, ③옵니께: 양보면, ④오니이다: 금남면.

(2) 존칭 서술형 어미: ①옵니다: 화개면, 악양면, ②옵니이더: 금남면, ③옵니더: 하동읍, 적량면.

(3) 극존칭 명령형: ①보이서: 하동읍, 양보면, ②보시이다: 금남면, 진교면.

2) 접속 어미

(1) 하나씩-하나썩(석): 하동군 전역

(2) 어디까지-어디까정: 하동군 전역

(3) 오늘부터-오늘부텀: 하동군 전역

(4) 죽이나마-죽이나따나: 하동군 전역

(5) ○○ 밖에 모른다-○○ 빼기 모룬다: 하동군 전역

3. 문법적 특징

1) 1인칭 대명사 ‘나’가 속격 조사를 취할 때 ‘-의’가 생략.

예) 나의 책 → 나 책, 나의 친구→ 나 친구

2) 격조사 “같이”는 “겉이”로 실현.

3) 보조 용언 ‘버렸다’는 전라남도형 ‘부렀다’가 경사남도형 ‘삣다’[경음화]의 영향을 받아 ‘뿌렀다’와 같은 변이 형태가 많음.

4) 접경지 중심으로 연결 어미 ‘-면’이 ‘-먼·몬’으로 실현되고 있는데, 하동의 경우 ‘ㄴ’이 탈락한 형태 ‘-모’가 분포하고 있음.

5) 종결 어미에서는 설명 의문문에서 아주 낮춤 의문형 어미가 ‘-네?’가 분포.

6) 인용문의 축약에서는 ‘-고 하니?’가 ‘-쿠네, -쿠노?’로서 ㄱ과 ㅎ이 결합한 형태가 나타남.

4. 하동의 독특한 어휘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현황]

하동군의 언어는 근·현대에 쓰고 있던 방언이지만 지금은 교육·통신·교통의 발달로 생활권이 단축됨에 따라 대부분의 언어가 표준말로 순화되고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방언이 많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