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정재기 불망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401553
한자 鄭在淇不忘碑
영어의미역 Monument for Jeong Jaegi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대송리 289-6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정연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38년연표보기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906년연표보기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983년연표보기
현 소재지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대송리 289-6 지도보기
성격 불망비
관련 인물 정재기(鄭在淇)
재질 화강암
크기(높이, 너비, 두께) 123㎝[높이]|42㎝[너비]|15㎝[두께]
소유자 대송마을
관리자 대송마을 이장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대송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정재기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개설]

정재기(鄭在淇)[1906~1983]는 본관이 진주(晉州)이고, 호는 해당(海堂)이다. 지금의 하동군 금남면 대치리에서 태어났으며, 학문이 높아 수사(秀士)라는 호칭을 받았다. 일제 치하에서 일본 경찰의 요시찰 인물로 지목받을 만큼 민족의식이 강하였고, 불교계의 중추적 인물인 다솔사 주지 최범술(崔凡述) 등과 교류가 깊었다.

[건립 경위]

1938년 흉년으로 주민들이 기근에 시달리자 정재기는 자신의 곡식 창고를 열어 주민들을 구휼하였다. 은혜를 입은 주민들이 정재기를 적선지가(積善之家)로 추앙하고, 뜻을 모아 마을 어귀에 선덕 불망비를 세웠다.

[위치]

정재기 불망비(鄭在淇不忘碑)하동군 금남면 대송리 289-6번지 대송마을 군부대 정문 앞 국도 19호선 도로변에 있다. 국도 19호선을 따라 남해 방면 4㎞쯤에 금남면사무소가 있고, 6㎞ 지점에 한려수도의 중심 노량 앞바다 남해대교가 있으며, 하동읍 방향 6㎞ 지점에 남해고속도로 하동IC가 있다.

[형태]

화강암 받침돌 위에 규형(圭形)의 화강암 몸체를 세웠으며, 비신(碑身)의 상단은 지붕형[옥개형(屋蓋形)] 팔작지붕을 얹어 장식하였다. 비석의 크기는 높이 123㎝, 너비 42㎝, 두께 15㎝이다.

[금석문]

비석의 정면 중심에 세로로 ‘수사 정재기 선덕 불망비(秀士鄭在淇善德不忘碑)’라 새겼는데, 글자 크기는 가로, 세로 각각 6㎝이다. 양쪽 옆에 한자로 네 자씩 각 8행을 세로로 새겼으며, 정재기의 선덕을 숭앙하고 기리는 내용이다. 마을 주민들이 의논하여 비문을 지었다고 한다.

[현황]

정재기 불망비는 민가 건축물 벽 가까이 있는데, 관리가 잘되고 있다. 비문도 글자가 뚜렷하여 판독이 가능하나, 한자에 익숙하지 못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의 내력을 잘 모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정재기 불망비는 일제 치하에서 기근에 시달리는 서민들을 구제한 독지가의 선덕을 현창한 유적이다. 은혜를 베푼 독지가의 선행은 물론, 공덕을 잊지 않고 후세에까지 전하려 한 사람들의 마음이 서린 가치 있는 문화유산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