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600976 |
---|---|
한자 | 尹滋鉉 |
이칭/별칭 | 형삼(亨三),눌와(訥窩)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안동교 |
출생 시기/일시 | 1844년 3월 2일 - 윤자현 출생 |
---|---|
몰년 시기/일시 | 1909년 1월 11일 - 윤자현 사망 |
출생지 | 윤자현 출생지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묵곡리 |
묘소|단소 | 윤자현 묘소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동(甑洞) |
서재 | 윤자현 서재 구봉정사(九峰精舍)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묵곡리 |
성격 | 문인 |
성별 | 남 |
본관 | 파평(坡平) |
[정의]
개항기 화순 출신의 문인.
[가계]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형삼(亨三), 호는 눌와(訥窩). 소정공(昭靖公) 윤곤(尹坤)의 후예이다. 윤확(尹確)이 낙남(落南)하여 나주 영평(永平)에 터를 잡았고, 6세조 칠송(七松) 윤각(尹珏)이 화순 능주로 이거하였다. 아버지는 난곡(蘭谷) 윤영진(尹榮鎭)이고, 어머니는 안동 권씨(安東權氏) 권성록(權成祿)의 딸이다.
[활동 사항]
윤자현(尹滋鉉)[1844~1909]은 어려서부터 성리학을 좋아하여 『주서 절요(朱書節要)』와 『이정 전서(二程全書)』를 손에서 놓지 않았다. 또 중국의 이업후(李鄴侯)처럼 많은 서적을 구해두고 독서와 강학에 몰두하였다. 1882년(고종 19)에 송병선(宋秉璿)의 문하에서 정학(正學)을 높이고 이단을 배척하는 방도를 배웠다. 김낙현(金洛鉉)·최익현(崔益鉉)·김평묵(金平黙)의 문하에서도 수학하였는데, 최익현은 윤자현에게 「구봉 정사기(九峰精舍記)」를 써 주면서 “고인(古人)의 학문을 자기 책임으로 여긴 처사(處士)”라고 평하였다. 을사조약에 반대하여 스승 송병선과 최익현이 순국하자, 장사할 때까지 상복을 입고 심제(心制)를 행하였으며, 두 스승의 문집 간행에도 적극 힘을 보탰다.
[학문과 저술]
저서로 『눌와 유집(訥窩遺集)』 10권 3책을 남겼는데, 김지수(金志洙)의 서문과 최영조(崔永祚)의 발문을 받아 1910년에 윤상렴(尹相濂)이 간행하였다.
[묘소]
묘소는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동(甑洞)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