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500629 |
---|---|
한자 | 延日鄭氏 |
영어공식명칭 | Yeonil Jeong Clan |
이칭/별칭 | 영일정씨(迎日鄭氏),오천정씨(烏川鄭氏)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전라북도 익산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박노석 |
본관 | 연일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
---|---|
입향지 | 모현동 - 전라북도 익산시 모현동 |
묘소|세장지 | 연일정씨 세장지 - 전라북도 익산시 모현동 |
성씨 시조 | 정종은(鄭宗殷) |
입향 시조 | 정덕성(鄭德成) |
[정의]
정종은을 시조로 하고, 정덕성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익산 지역의 세거성씨.
[개설]
연일정씨(延日鄭氏)는 정종은(鄭宗殷)을 시조로 하고 본관을 연일(延日)로 하여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익산에는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후손인 판서 정덕성(鄭德成)[?~?]이 입향한 이후 후손들이 익산시 모현동의 원모인마을을 중심으로 세거하고 있다.
[연원]
연일정씨의 시조인 정종은은 진한 사로(斯盧) 취산(嘴山) 진지부(珍支部) 촌장 지백호(智伯虎)의 후손으로, 신라 때 간의대부를 지냈다. 정종은의 후손 정의경(鄭宜卿)이 영일호장(迎日戶長)을 지내고 영일현백(迎日縣伯)에 봉해진 다음 영일(迎日)을 본관으로 삼았다. 연일정씨는 본관을 영일의 옛 지명을 따 ‘연일’ 또는 영일에서도 본향인 오천마을 이름을 따서 ‘오천(烏川)’으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근래에는 ‘연일’로 통일하여 사용하고 있다.
연일정씨는 정확한 세계가 밝혀지지 않은 두 파가 있다. 하나는 고려 의종 때 중신으로 추밀원지주사를 지낸 정습명(鄭襲明)을 1세조로 하는 지주사공파(知奏事公派)이고, 다른 하나는 고려 때 감무를 지낸 정극유(鄭克儒)를 1세조로 하는 감무공파(監務公派)이다. 이후 지주사공파는 정몽주(鄭夢周)·정문예(鄭文裔)로 나뉘었고, 감무공파는 정사도(鄭思道)·정철(鄭澈)계로 나뉘었다.
연일정씨 감무공파 과거 급제자는 고려 시대에 정사도(鄭思道)와 정홍(鄭洪)이 있으며, 조선 시대 문과 급제자는 정구(鄭逑)·정연(鄭沇)·정자(鄭滋)·정자명(鄭自明)·정종명(鄭宗溟)·정철(鄭澈)·정홍명(鄭弘溟)·정회(鄭淮) 등 8명이다. 생원시 합격자는 정연(鄭沇)·정연(鄭淵)·정회(鄭淮)이고, 진사시 합격자는 정기명(鄭起溟)·정소(鄭沼)·정자(鄭滋)·정종명(鄭宗溟)·정진명(鄭振溟)·정철(鄭澈)이다.
지주사공파 과거 급제자는 고려 시대에 정몽주(鄭夢周)와 정습명(鄭襲明)이 확인되고, 조선 시대 문과 급제자는 정경우(鄭景祐) 외 111명, 무과 급제자는 174명, 생원은 199명, 진사는 201명이다.
연일정씨 집성촌은 익산 세거지인 익산시 모현동을 비롯하여 경기도 용인시 모현면 능원리, 경기도 용인시 모현면 왕산리,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양교리,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매금리,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예지동, 경상북도 영천시 대전동,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봉양동, 경상북도 봉화군 상운면 내임리,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개곡리, 황해도 평산군 상월면 하월리, 평안남도 용강군 다미면 오정리, 함경남도 고원군 군내면 현흥리 등지이다.
[입향 경위]
연일정씨 익산 입향조는 조선 전기 익산시 모현동의 원모인마을에 들어와 정착한 정덕성이다. 정덕성의 아버지는 참의 정천봉(鄭天鳳)이며, 정확한 입향 경위는 전하지 않는다.
[현황]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연일정씨는 전국에 28만 4290명이 있으며, 익산시에는 1,624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일정씨는 전국에 6만 5991명이 있으며 익산시에는 70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오천정씨는 전국에 4만 3341명이 있으며 익산시에는 23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관련 유적]
연일정씨 익산 관련 유적으로는 정제호 효자정려각, 정종식 효자정려각, 정유증 처 밀양박씨 열녀정려각, 정진희 처 평양조씨 열부정려각과 재실 4곳, 시제 제단 1곳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