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301226 |
---|---|
한자 | 黃芪 |
영어음역 | Hwanggi |
영어의미역 | Milk Vetch Root |
이칭/별칭 | 백본,재분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특산물/특산물 |
지역 | 충청북도 제천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정범 |
[정의]
충청북도 제천시에서 재배되는 콩과에 속한 약재.
[개설]
황기는 백본(百本), 재분(載粉)이라고도 하며,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주로 뿌리를 약으로 사용한다. 이뇨 작용을 하고 몸 안의 기운이 흩어지지 않고 중심에 모이도록 하며, 새살이 생기도록 돕는다. 높이는 50~80㎝이고, 뿌리는 깊고 길며 막대 모양이고 약간 목질을 띤다. 줄기는 직립하고 상부에서 많이 분지되며 매끄럽고 광택이 있거나 약간의 털로 덮여 있다. 선단은 무디거나 절단형 또는 뾰족한 모양이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윗면은 매끄럽고 광택이 있거나 털로 성글게 덮여 있으며 밑면은 흰색의 길고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턱잎은 피침형이거나 삼각형이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고 꽃받침 톱니는 5개인데 매우 짧고 검은색의 짧은 털로 덮여 있거나 꽃받침 톱니의 가장자리에만 검고 부드러운 털이 덮여 있다. 꽃부리는 연한 황색이고 나비 모양이며 길이는 약 16㎜이다.
[연원 및 변천]
조선 전기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1454]와 조선 중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에는 황기에 대한 기록이 없고, 조선 후기에 저술된 『여지도서(輿地圖書)』[1760]에 보면 제천현 인근 지역인 청풍부의 진상품 목록 중 2월령(月令) 품목에 황기가 보인다. 진상품이었던 것으로 보아 제천 일대의 황기는 품질이 매우 우수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황기는 지금도 제천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는데, 전국 생산의 30%, 전국 유통량의 80%를 점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천을 통하여 황기가 많이 유통되는 이유는 제천의 약초 가공 기술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황기의 생산량은 단일 지역 기준으로 볼 때, 제천이 전국 1위를 차지하는 품목이기도 하다. 이는 산지가 많아 한랭하고 건조한 제천의 자연 환경이 황기의 생육 조건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제천약초시장에서는 황기를 가공[절단 및 건조]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제조(생산) 방법 및 특징]
황기는 한랭하고 건조한 기후와 배수가 좋고 토양층이 두꺼운 사질 양토에서 잘 자란다. 매년 2~3회 땅을 일구고 김매기를 해야 하며 병충해의 영향을 잘 받으므로 예방에 주의하여야 한다. 해발 고도 400m에서 가장 잘 자라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산간 지역인 제천시는 황기가 자라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춘 곳이다.
석회암 지대인 제천시에는 전국에서 황기의 품질이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천의 황기는 다른 지역 황기에 비해 무기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단단하고 저장성이 좋아 변질의 우려가 적다는 점이 특징이다. 제천 황기는 지리적 표시제 등록이 되어 있는데, 이는 그만큼 품질이 우수하다는 방증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제천산 황기는 1년산이 대부분이어서 3년 이상을 재배해야 약재로 쓸 수 있다는 한약재의 기본 규격에 미치지 못하는 점이 아쉽다.
[현황(관련 사업 포함)]
황기는 제천시에서 주력으로 재배하는 약초로서 다른 지역에 비해 품질이 우수하며, 생산에 대한 노하우가 축적되어 있고, 유통 체계가 확립되어 생산 및 판매가 원활하다. 황기는 주로 한약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식품으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삼계탕에서 인삼 대신 황기를 넣은 황계탕[황기백숙]이 여름철 보양식으로 많이 소비되고 있으며, 황기 차, 황기 순대, 황기 족발, 황기 찐빵 등 식품으로 다양하게 응용된다.
제천은 2006년부터 황기 재배에 농산물 우수 관리 제도[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라는 국제적인 안전 농사법을 도입하여 황기를 재배하기 시작하였으며, 2010년까지 지속되고 있다. 품질의 우수성과 제천 약초 시장의 판매 능력을 바탕으로 제천은 앞으로도 황기의 생산 및 유통에서 전국적인 주도권을 행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9년 기준으로 230㏊의 재배 면적에서 638톤 정도가 생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