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0153
한자 濟州高山里遺蹟
영어음역 Jeju Gosan-ri Yujeok
영어의미역 Archaeological Site in Gosan-ri
이칭/별칭 제주 고산리 선사 유적,고산리 유적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3628
시대 선사/석기
집필자 강창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8년 12월 23일연표보기 - 제주 고산리 유적 사적 제412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제주 고산리 유적 사적 재지정
성격 생활 유적
지정면적 12,427㎡
소재지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3628 지도보기
소유자 국유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에 있는 신석기시대 초기의 생활 유적.

[발굴조사경위 및 결과]

1991년에서 1998년까지 4차례의 발굴 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후기 구석기 전통의 세석핵(細石核)·세석인(細石刃)·첨두기(尖頭器)·석추(石錐)·원형 소기(搔器)·소형 소디(搔器)·긁개·삭기(削器)·홈날 석기·양면 석기·가공흔 석기·시병 연마기(矢柄硏磨器)·망치돌·역석(礫石) 등의 석기와 함께 원시 무문양의 식물성 섬유질이 혼입된 고토기가 확인되었다.

[출토유물]

제주 고산리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의 조합상은 후기 구석기 최말기(12,000B.P.)에서 신석기 초기 문화로 이행되는 전환기의 문화 양상을 보여 준다. 후기 구석기의 세석인(細石刃) 문화가 지속되면서 초기 신석기의 산물인 양면 박리 석촉과 원시형 고토기가 출현하는 복합적인 문화 양상을 띠고 있다. 지금까지 거론된 고산리 문화의 형성과 전개를 크게 3기로 나누어 요약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표〉고산리 문화의 형성과 전개

[의의와 평가]

고산리 문화는 발달된 수렵 중심의 생업 체제를 유지한 집단의 문화이다. 제주 고산리 유적은 후기 구석기 최말기 세석인 문화의 전통 속에서, 각종 박편 양면 가공 석기 조성을 보이면서 저화도의 원시형 고토기인 식물성 섬유질 토기(고산리식 토기)를 사용한 한국 초기 신석기 문화의 실체를 보여 주고 있다. 1998년 12월 23일 사적 제41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사적으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5.04.10 항목명 수정 고산리 유적->제주 고산리 유적으로 수정(2015.4.10)
이용자 의견
배** 안녕하세요, 제가 7/12 내가쓰는백과에도 댓글을 남겼는데도 불구하고 3개월 동안 하나도 반영되지 않고 있습니다. 어려운 내용도 아니고, 인터넷 '한국고고학사전'을 검색해서 찾아보면 다 나오는 내용인데 왜 반영시켜주지도 않나요? 공신력 있는 연구기관에서 뭐하고 있는지요. 확인 후 반영시켜주세요.
  • 답변
  • 디지털제주시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의주신 내용을 순차적으로 반영하고 있사오니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이용 부탁드립니다.
2020.09.08
배** 7/12 내가쓰는백과에 수정 요청 하였습니다. 약 10일 정도 지났는데 아무런 조치나 답변이 없습니다. 어떻게 되어가는지 궁금하며, 유물의 한글명과 한자명을 정확하게 표현해줬으면 좋겠습니다.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비정상적 민원 제기로 처리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7.21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