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00714 |
---|---|
한자 | 三神 |
영어음역 | Samsin |
영어의미역 | Goddess of Childbirth |
이칭/별칭 | 지앙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
집필자 | 서해숙 |
[정의]
아이를 점지하고 관장해 주는 가신(家神).
[개설]
진도에서는 삼신을 ‘지앙’이라 부른다. 성주·조령에 비해 삼신은 아이를 낳을 때나 명절 때, 집안 식구의 생일 때 한시적으로 모시는 경향이 많다. 집안에 따라서는 제사 때 삼신을 모시기도 한다.
성주상을 차릴 때 상 밑에 짚을 깔고 준비한 음식을 골고루 차려놓는 것이 삼신상이다. 자식들이 모두 장성해서 결혼하여 살고 있으면 차리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간혹 손주를 위해 차리기도 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집안에서 아이를 낳으면, 아이 낳은 방의 윗목에 짚을 깔고 쌀을 담은 지앙동우, 미역, 물, 명주실 등을 차려놓는다. 그리고 3일 만에 미역국, 밥, 나물을 차려놓고 이레마다 그 안의 쌀을 퍼다가 밥을 차린다. 그밖에 떡, 나물 등을 준비하여 올린다. 그리하여 이레를 모두 지낸 뒤에는 지앙동우의 쌀을 비운 뒤 산모 방에서 치워버린다.
지앙상은 이레마다 차려놓는데 대체로 일곱이레를 모셨다고 한다. 그러나 집안에 따라 열두이레를 모시는 경우도 있다. 마지막 이레날에는 당골을 불러 아이의 건강을 축원하며, ‘미련한 인간은 밥을 지어서 새술로 떠먹어도 앉을 때 설 때 모르는 인간이므로 우리 지앙님네가 모든 것을 짐작하고 이해해주소서’하며 읊조리면서 비손한다. 그 뒤에 금줄과 지앙상 밑에 깔아놓은 짚을 걷어서 태워버린다. 예전에는 아이를 빨리 낳지 못하면 인근에 사는 당골을 불러 ‘지앙맞이’를 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