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해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1680
한자 海女
영어음역 haenyeo
영어의미역 female diver
이칭/별칭 잠녀,잠수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준

[정의]

바다 속에 들어가 해삼, 전복, 미역 등 해조류와 패류를 채취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여자.

[개설]

한국과 일본에서는 바다에서 자맥질하여 해산물을 캐는 여성을 흔히 ‘해녀, 아마(海女, あま)’라고 한다. 제주 사람들은 ‘바다에서 무자맥질하는 아주머니(여자)’라는 의미의 잠수(潛嫂), 잠녀(潛女) 등을 혼용한다.

[변천]

전라남도 진도에 해녀들이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초반이다. 접도, 굴포 등 진도 남쪽 지역 어장에 물질을 하기 시작하면서부터이다. 초기에는 해녀사업으로 어장을 구입한 선주(객주)가 제주에서 해녀를 모집해 음력 1월 제주에서 나와 8월 추석 전에 들어갔다. 당시에는 전복보다는 성게, 미역, 천초 등을 많이 땄다. 제주에서 객선을 타고 벽파로 건너와 진도에서 물질을 했다. 당시 선금(先金)으로 3~4만원(보리쌀 한 되가 7원할 때임)을 미리 받기 때문에 부지런히 물질을 해서 갚아야 했다. 그렇지 않으면 빚을 지게 된다. 선금은 제주에서 부모들이 받는다. 굴포에는 모두 5명의 제주 출신 해녀들이 물질을 했다. 추석 무렵에 제주도로 돌아가서도 미역, 소라, 오분자기를 잡고, 작살로 간재미(홍어)와 문어도 잡았다.

[현황]

진도에 들어온 해녀들은 성산포 시흥과 원평 출신들이 많았다. 현재 진도에는 접도와 굴포에 모두 3명의 제주 출신 해녀들이 생활하고 있다. 굴포만에서 물질을 해온 최무임(66세, 중만리) 씨는 2년 전까지 물질을 했으며, 지금도 어장을 사서 운영을 하고 있다. 21세에 제주에서 해녀사업으로 들어와 진도 남자와 만나 결혼을 하여 정착했다. 직접 어장을 사고 배를 운영하며 자연산 전복을 따서 판매를 했다.

물질을 하려면 하늬바람, 즉 북서풍이 불어야 물도 맑고 작업하기 좋다. 샛바람이나 마파람, 즉 동남풍이 불면 바다 속이 흐리고 작업을 할 수 없다. 초기에는 주로 우무를 만드는 천초를 채취했으며, 해삼이나 전복을 잡아서 주민들이 가진 된장과 바꿔 먹기도 했다. 보통 한 조금에 5일 정도 일하며, 여름처럼 해가 길 때는 7일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다. 진도에 정착한 해녀들은 완도에 있는 젊은 해녀들을 데리고 와서 물질을 하는 경우가 많다. 해녀 3명이 6~7시간 작업을 해서 8㎏ 내외를 잡는다. 잡는 양은 어장상황에 따라 다르다. 해녀와 선주가 4:6으로 나누어 갖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