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효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1054
한자 孝子
분야 종교/유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집필자 김상열

[정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지역 출신이거나 연고가 있는 사람으로서 부모를 효성으로 극진하게 봉양한 자녀.

[개설]

효(孝)는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 유교의 도리 중 하나로 충과 함께 중요시하였다. 가계(家系)의 연속을 중요하게 여긴 전통 가족 제도 아래서는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가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인간관계 중에서 가장 우선하는 근원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부자 관계는 자식의 부모에 대한 일방적인 예속과 종속에 따른 상하 관계였으며, 이를 지배하는 행위 규범은 효 또는 효도(孝道)로 집약될 수 있다. 전통적인 규범으로서의 효 또는 효도는 부모가 살아 있을 때 정성껏 모시는 것뿐만 아니라 사망한 뒤에도 극진히 제사를 모시는 것 등을 포함한다. 자식의 모든 행동은 효도와 관련하여 평가되었고, 자식은 일생을 통하여 효도의 의무를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효도를 중요하게 여긴 조선 시대의 문화적 전통은 전국 각지에서 수많은 효자를 낳았다. 그 효자들의 지극한 효심은 학자들의 문집에 담기거나 효자비(孝子碑)의 비문에 실려서 가문의 자랑거리뿐만 아니라 젊은이들의 덕행(德行)의 표준이 되어 왔다.

[기록에 나타난 효자]

『인천부 읍지(仁川府邑誌)』를 비롯한 지지류에는 김순선(金純善), 이응생(李應生), 이응시(李應時), 이승기(李承器), 이숙(李琡), 박승길(朴升吉), 이기종(李起宗), 하우명(河友明), 정세빈(鄭世賓) 등의 효자가 인천에 있었다고 한다. 아울러 정세빈과 이기종의 비는 먼우금[인천 송도 지역의 옛 이름]에 있고, 하우명의 비는 소래산 아래에 있으나, 나머지 효자들의 정려는 오래되어 대개 무너졌고, 행실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없다고 전하고 있다. 이훈익(李薰益)의 『인천의 성씨·인물고』에는 일부 효자의 행실을 기록하고 있다.

하우명세종(世宗) 때 영의정을 지낸 하연(河演)의 아들로 부친의 묘역 아래 살면서 산소를 정성껏 돌보고 묘사를 받드는 등 효도에 전념하였다고 전한다. 이기종은 광해군(光海君) 때 인물로 유복자로 태어나 출사한 후 비명횡사한 아버지의 원수를 갚은 효행이 전해져 현종(顯宗)이 이기종의 효성을 하상하고 효자의 정려를 내렸다고 한다. 이응생은 병자호란 당시 어머니를 업고 피난하다가 적군에 의해 죽임을 당하면서도 어머니를 구했기에 훗날 정려가 내려졌다고 한다. 이응시는 아버지가 병이 들자 백방으로 약을 구하고 침식을 잊고 병간호하면서 손가락을 잘라 피를 아버지에게 먹였음에도 돌아가시자 3년간 시묘 생활을 하였다는 효행으로 1755년(영조 51)에 효자 정려가 내려졌다고 전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