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701706 |
---|---|
이칭/별칭 | 호미씻기,호미씻이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집필자 | 한만영 |
[정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서 음력 7월경 김매기가 끝나 농사가 일단락되면 호미를 씻어 걸어 두는 풍속.
[개설]
호미걸이 는 농사일을 마친 후 호미를 씻어서 걸어 두어 다음 해의 농사를 대비한다는 의미이다. 호미걸이라는 표현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를 비롯한 경기도 지역에서 쓰였으며, 삼남 지방에서는 대부분 호미씻기라고 불렀다. 지역에 따라서는 마을 단위로 한 해 농사에 힘쓴 농민들을 위로하기 위하여 술과 음식을 장만하여 잔치를 벌이기도 하였다.
[연원 및 변천]
조선 시대의 세시기(歲時記)에서도 호미걸이에 대한 기록을 찾아보기 힘들다. 아마도 호미걸이의 풍속이 등장한 시기가 17~18세기 이후이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조선 후기 이앙법이 보편화되고, 광작(廣作)이 나타나면서 부농들은 자신이 소유한 노비와 함께 머슴을 고용하여 자신이 직접 한 해의 농사를 주도하였다. 이와 함께 주요 농사일이 끝날 무렵에 머슴들을 위로하기 위해 만들어진 풍속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조선 후기 이앙법의 보편화 현상 덕분에 마을 단위의 공동 노동이 강화되어, 두레가 더욱 강화되었기 때문에 마을 단위의 행사로 이어졌던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절차]
가을 고사를 지내 추수 감사와 기복(祈福)을 하고, 주요한 농사일을 마친 후 호미를 씻어서 걸어 두고 다음 해의 농사를 대비한다. 마을 단위의 행사를 하는 경우 술과 음식을 장만하여 하루를 즐기기도 하였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호미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쓰이는 대표적인 농기구이다. 호미걸이는 대체로 음력 7월 15일 경에 행해졌으며, 양력 절기상으로 처서(處暑)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처서는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하며 풀이 더 이상 자라지 않는 시기이다. 호미걸이는 농사일 중에서 가장 힘들다는 논의 ‘김매기’가 끝난 것을 축하하며, 김매기에 사용된 농기구를 깨끗하게 정리하여 보관하면서 행해졌던 풍속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에는 대부분의 농촌에서도 호미걸이 풍속이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와 같이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에서는 큰 의미가 없는 세시 풍속이라 할 수 있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 주민 김무웅은 호미걸이를 하나의 풍속으로 이해하지 않고 논농사에서 ‘김매기’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본다. 아마도 소규모의 농지에 의존하고 있던 이 지역에서는 두레나 머슴을 고용하여 농사를 짓는 경우가 많지 않아 이와 같은 풍속이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