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701046
한자 密陽 今是堂 栢谷齋
이칭/별칭 백곡서원(栢谷書院)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로 24-183[활성동 581]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전지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566년 - 금시당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60년 - 백곡재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1592년 - 금시당 소실
개축|증축 시기/일시 1744년 - 금시당 복원
문화재 지정 일시 1996년 3월 11일연표보기 - 밀양 금시당 백곡재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28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6월 29일 - 밀양 금시당 백곡재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밀양 금시당 백곡재 -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로 24-183[활성동 581]지도보기
원소재지 밀양 금시당 백곡재 -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로 24-183[활성동 581]
성격 재사
양식 팔작지붕
정면 칸수 4칸
측면 칸수 2칸
소유자 여주이씨 종중
관리자 여주이씨 종중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28호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동에 있는 조선시대 재사.

[위치]

밀양 금시당 백곡재(密陽今是堂栢谷齋)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동에 있다. 동쪽에는 호두산, 서쪽에는 용두산을 끼고 있고 바로 앞에는 밀양강이 흐르고 있다.

[변천]

밀양 금시당은 조선 명종 때 학자로서 좌승지를 지냈던 금시당(今是堂) 이광진(李光軫)[1513~1566]이 1565년(명종 20) 벼슬을 그만두고 낙향하여 휴양하면서 학문을 가르치기 위하여 1566년에 지은 건물이다. ‘금시당’이라는 명칭은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 중 ‘지금은 옳고 지난날이 틀렸음을 깨달았다.[覺今是而昨非]’라는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곧 벼슬살이를 그만두고 고향에 돌아온 지금이 옳은 선택이고, 이전의 벼슬 생활은 잘못이었다는 깨달음을 빗댄 명칭이라고 할 수 있다.

금시당은 1566년에 건립된 이후 1592년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없어졌는데, 5대손인 백곡(柏谷) 이지운(李之運)[1681~1763]이 1744년(영조 20)에 복원하였다.

밀양 백곡재금시당을 재건한 이지운을 추모하기 위하여 1860년(철종 11)에 세운 건물로, 금시당 동쪽 축대 위에 있다.

밀양 금시당 백곡재는 1996년 3월 11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28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형태]

밀양 금시당은 ‘一’자형의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마루와 온돌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밀양 백곡재는 건축 규모나 양식이 금시당과 일치하지만, 온돌방과 마루의 위치가 반대로 되어 있다.

[현황]

밀양 금시당 백곡재는 정당(正堂)인 금시당을 중심으로 백곡재, 문서방(文書房), 고자사(庫子舍), 대문 등이 배치되어 있다. 정원에는 이광진이 직접 심은 것으로 추정되고 1982년 경상남도 밀양시에서 보호수로 지정한 은행나무가 있다.

[의의와 평가]

밀양 금시당백곡재는 경상남도 밀양 지역 여주이씨(驪州李氏) 가문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실용성을 강조한 영남 지방의 별서(別墅) 건물의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